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다양한 산업·공공 분야에서의 디지털트윈(DW) 기술 활용방안을 제시한 ‘디지털 트윈의 꿈’ 개정판을 발간했다. 기술 활용에 대해 설명한 지침서로 ETRI는 이를 통해 생활과 산업을 혁신하는 디지털트윈 기술의 확산을 기대했다.
디지털트윈은 가상공간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대비·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인공지능(AI), 5G 등과 함께 세상을 바꿀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ETRI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디지털트윈 관련 국제표준안을 제안, 지난해 10월 ISO23247로 발간·배포하는 성과를 거뒀다. ISO23247은 제조 분야에 디지털 트윈을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기술을 정의한 표준 문서다.
ETRI는 이번 개정해 발간한 ‘디지털 트윈의 꿈’은 다양한 분야의 산업 현장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디지털트윈 기술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를 기술 수요자 측면에서 청사진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트윈 데이터 모델링을 포함해 ▲서로 다른 디지털트윈 간 연동 및 인터페이스 ▲형상화 충실도 및 가시화 충실도 ▲충실도 설계 기준 ▲수준 성숙도 진단모델 등을 보완해 기술 수요자의 이해를 돕게 했다.
또 ▲AR·VR·MR, CPS, 메타버스 등 기타 관련 기술과의 연계 등에 대한 연구 성과 ▲디지털트윈의 개념과 정의, 기대효과 ▲디지털트윈 종류와 모델 결합 ▲상호운용성 ▲생애주기 관리와 디지털 쓰레드(Digital Thread) ▲참조모델, 모델링 방법 등도 추가됐다.
강신각 ETRI 표준연구본부장은 “디지털트윈은 해결하고자 하는 현실의 문제를 가상공간에서 직관적으로 풀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전환 시대의 핵심기술”이라며, “이 보고서와 표준이 연구자와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 수요자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몰입형 경험 확장·AI 자동화 가속 기술에 주목하라”
- “PLM에 AR기술 도입, 생산성 높인다”…팀뷰어, 지멘스와 ‘맞손’
- 팀솔루션, NIPA ‘5G 디지털 트윈 시설물 안전 실증 사업’ 착수
- 가상 부동산에서 HMD까지…메타버스 산업 확장성 ‘주목’
- 메타버스표준포럼 발족…“개방형 메타버스 상호운용성 확립 목표”
- 팀뷰어코리아 공식 출범…산업 AR 시장 공략
- 팁코,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팀 데이터 분석 지원
- 메타버스 구현에 최적화 단말 ‘XR헤드셋’, “2025년 출하량 1억대 돌파할 것”
- 디지털트윈(DW) 플랫폼 ‘NDX프로’ 내건 이에이트, 시장 공략 본격화
- “한국 소비자들, 메타버스 등 신규 앱에 대한 기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