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극지·우주 농업 가능한 '메타 팜' 기술 개발 목표

ETRI 연구진이 스마트팜 시스템 구축을 위해 스마트팜 디오라마를 보며 관련 사항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ETRI]
ETRI 연구진이 스마트팜 시스템 구축을 위해 스마트팜 디오라마를 보며 관련 사항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전광역시의 ‘도시 내 문제해결을 위한 디지털트윈 실증 팜 및 로드맵 기획’ 사업을 주관한다고 전했다. 이 사업을 통해 ETRI는 디지털트윈 팜 기술을 개발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융합 미래 신산업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도시형 디지털트윈 실증 팜 및 로드맵 기획 사업은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STEP)이 추진하는 사업으로, ETRI를 포함해 대전 지역의 6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된다. 주관기관인 ETRI는 보유한 스마트팜, 디지털트윈 기술 등을 바탕으로 도심에서 스마트팜 적용이 가능한 도시형 디지털 트윈 팜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기존 스마트팜 기술이 단순 온·습도 환경조건에 대한 측정 데이터만으로 개별적 환경의 자동관제를 관리했다면 이번 사업으로 개발되는 디지털트윈 팜은 다양한 작물의 생육조건, 생육환경 등의 데이터 구축은 물론 클라우드 원격관제, 자율관제 및 생장 학습으로 작물 재배의 다양한 변수를 조정할 수 있다.

향후 연구진은 디지털트윈 팜을 통해 구축한 작물의 생육 데이터를 활용, 사막이나 극지, 심지어 우주에서도 원격·계획 농업이 가능한 ‘메타 팜’ 구축까지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사업에서 인공지능(AI),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등 ETRI가 제공하는 지능화 기술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디지털트윈 팜을 통한 고부가가치 식물의 바이오 소재 생산 현황을 분석해 바이오 소재·의약품 생산을 위한 맞춤형 유전자 모델, 시스템 등을 담당한다.

한국기계연구원은 디지털트윈 팜 운영을 위한 자립형 도시·건물 에너지 시스템 분야를, 충남대학교는 식물공장과 원예기술의 시스템과 활용을 담당하며, 한기술 등 관련 기업은 기자재, 부품, 도시 내 서비스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게 된다. 

향후 6개 기관은 도시형 미래 팜을 목표로 도시의 다양한 현황, 문제점,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와 의견수렴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 구축과 동시에 대전시와의 실증 사업을 기획할 예정이다.

도시형 디지털트윈 팜 기술을 통해 도심에서도 고부가가치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도심 내 노후화되거나 버려진 건물을 스마트팜으로 활용함으로써 스마트팜과 연계된 카페, 레스토랑, 교육공간 등으로 다양한 공간 활용도 기대된다.

ETRI 오대곤 연구전문위원은 “작물의 생육 데이터의 생성·저장·유통·활용 전 주기에 걸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선제적으로 구축함으로써 도시 공동화,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환경오염 등 사회적 이슈에 대응하고. 농업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ETRI 김명준 원장도 “ETRI는 그간 모든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해 왔고 이번에 도시형 디지털 팜 분야도 지역혁신시스템 지원을 위한‘마중물플라자’의 청년 창업 등과 연계해 성공적으로 뿌리 내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