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기술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차로 관광객, 지역주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무상 모빌리티 서비스가 3일 시작한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달 3일부터 제주 해안도로 및 중문관광단지 일대에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탐라 자율차 모빌리티 서비스가 시작한다.
탐라 자율차 서비스는 관광객과 지역주민에게 2023년까지 무상으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지난 5월 자율차 서비스의 대국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토부가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시범사업’으로 공모, 아이티텔레콤 주관 컨소시엄이 최종사업자로 선정됐다.
운행사는 모빌리티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 맡고 아이티텔레콤, 광명 D&C, 카이스트(KAIST), 제주연구원이 사업에 참여한다.
2020년에 시작한 모빌리티서비스 시범사업은 스타트기업 및 중소기업이 창의적으로 마련한 자율차 기반의 모빌리티 프로젝트에 대해 국토부가 자율차 제작 및 서비스 운영비를 지원, 자율주행 실증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제주 자율주행서비스에는 40억원 지원된다.
탐라 자율차 서비스는 지역 주민과 관광객이 자주 찾는 제주공항 인근의 용두암-이호테우해변 등 해안도로(총 16km)와 중문관광단지 내에서 각각 운영된다. 대중교통 및 기존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연계해 차를 직접 운전하지 않고도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올해는 자율차 3대(해안도로 2대, 중문단지 1대)를 평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운영한다. 전문교육을 받은 안전 관리자가 비상상황을 대비해 운전석에 탑승한다. 서비스 예약 및 차량 호출은 운영업체인 라이드플럭스 홈페이지 서비스 링크와 QR코드를 통해 할 수 있다.
2차사업에 민간사업자로 함께 선정된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컨소시엄도 이달 중에 서비스 준비를 마치고 대구 테크노폴리스(10.6km)와 국가산업단지(17.6km)에서 여객서비스, 로봇 배송을 제공하는 달구벌 자율차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이 사업에서 운행사는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맡고 카카오모빌리티, KT, 현대오토에버, 뉴빌리티,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사업에 참여한다.
국토교통부 박지홍 자동차정책관은 “우리기업이 상용화를 위한 국제적 경쟁이 치열한 자율차 시장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민간기업을 지원하고 더 많은 일반국민이 자율주행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앤시스·모라이, ‘한국 자율주행 개발자포럼(KADF)’ 공동 개최
- 자동차 SW 개발표준 ASPICE 컨퍼런스, 내달 제주서 열린다
- 팹리스 VSI, 내달 日요코하마서 ASA 표준 고속 링크 솔루션 시연
- KAIST 공승현 교수팀, 4D 레이더 AI 신경망 기술 개발…오픈소스로 공개
- 2분기 전세계 자동차 판매량 집계해보니…“커넥티드카가 더 팔렸다”
- [데스크칼럼] 창업기업·스타트업은 어느 장단에 춤을 추나
- 현대모비스, 룩소프트와 공동 개발한 차세대 IVI 첫 선
- LGU+, 오비고 지분 5% 확보…커넥티드카 사업 확대 ‘정조준’
- 국토부, 자율주행 교통안전교육과정 3일 첫 시행
- ‘케이녹 데모데이 2022’ 성료…대상은 게임 스타트업 ‘뉴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