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스마트점포 기술 협력 강화
슈프리마와 BGF리테일이 ‘안심스마트점포’ 기술 고도화와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운영하는 안심스마트점포는 사용자 인증에서 출입·구매·결제까지 자동화된 무인점포를 말한다.
무인점포 운영을 위해서는 CCTV 등 지능형 물리보안 기술을 비롯해 출입관리, 무인결제 등 융합보안 기술이 요구된다. 슈프리마와 BGF리테일은 ‘안심스마트점포’ 사업 활성화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CU편의점 무인점포 출입인증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슈프리마 출입인증 솔루션을 개발하고 무인화 시스템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슈프리마의 무인매장 솔루션은 ‘카카오톡 지갑 QR’, ‘네이버 출입증’을 통해 이용객의 신원이 확인하고 매장 출입을 하도록 한다. 매장점주는 모바일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이용객의 출입 이력 조회, 출입문 개폐 설정이 가능해 안전한 매장 관리가 가능하다.
BGF리테일은 정부기관과 중소기업 간의 협력 강화와 핵심 기술 국산화를 위해 국내 중소기업 기술로만 만든 한국형 ‘안심스마트점포’ 테스트베드를 10월 판교에 구축했다.
슈프리마는 5월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진행하는 ‘2022년 스마트상점 기술보유기업’ 사업에 참여해 소상공인의 스마트상점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최종규 슈프리마 국내 사업전략 본부장은 “무인점포의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시장의 환경에 따라 안전하고 스마트한 무인점포 운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정부기관 및 관련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유통업계 빅블러 현상 심화…3대 키워드는 ‘리포지셔닝·퀵커머스·로컬플랫폼’
- 슈프리마, 46개국 고객사 대상 글로벌 파트너 컨퍼런스 성료
- “국민 두 명 중 한 명은 무인매장 선호한다”
- “AI로 전세계 인구 식별 가능”…현대판 빅브라더 ‘안면인식’ 기술의 명과 암
- 라운지랩, 엑스와이지로 사명 변경…로봇 스타트업 코봇 인수
- LGU+ 황현식 사장, “MZ세대 관찰하고 잘 아는 것이 성공 방정식”
- 우리은행, 초소형 점포 ‘디지털 EXPRESS점’ 3개점 개소
- 오딘로보틱스, AI 출입 솔루션에 네이버 출입증 연동
- 제주혁신센터, 거점오피스 O2O 서비스 ‘원루프’에 투자 단행
- “빅데이터로 골목상권 살린다”…KT·서울시, 골목경제 부활 프로젝트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