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더블·투명OLED 등 프리미엄 시장 타깃, 기술 상용화 계획 공유

'CES 2023' 현장에 마련된 LG디스플레이(LGD) 부스에서 모델이 프리미엄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대거 탑재된 완전 자율주행 콘셉트카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D]
'CES 2023' 현장에 마련된 LG디스플레이(LGD) 부스에서 모델이 프리미엄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대거 탑재된 완전 자율주행 콘셉트카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D]

LG디스플레이(LGD)가 초대형·슬라이더블·투명 OLED로 프리미엄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LGD는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CES 2023’ 현장 부스에서 독자 기술을 적용한 차량용 OLED와 LTPS(저온다결정실리콘) LCD 기반의 초대형, 저전력, 초고휘도 기술 등 차별화된 라인업을 소개했다.

화면이 확장되는 ‘차량용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도 업계 최초로 공개하며 수주형 사업의 한 축으로 설정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공략에 집중할 계획을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차량용 OLED 시장 규모는 2023년 2억6000만달러에서 연평균 30% 이상 성장해 2027년에는 11억1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LGD는 차량용 OLED 분야에서 차별화 기술인 탠덤(Tandem) OLED에 역량을 집중한다. 탠덤 OLED는 유기발광층을 2개 층으로 쌓는 방식으로 기존 1개 층 방식 대비 고휘도, 장수명 등 내구성이 뛰어난 점이 특징으로 LGD가 2019년 최초 양산에 성공했다.

올해부터는 ‘2세대 탠덤 OLED’ 양산에 돌입한다. 유기발광 소자의 효율을 개선해 휘도와 수명을 높였으며 소비전력도 기존 대비 약 40% 저감했다고 이 회사는 설명했다.

탠덤 OLED를 탄성있는 플라스틱 기판에 결합한 것이 LGD의 차량용 P-OLED(플라스틱 OLED)다. 차량용 P-OLED는 LCD 대비 소비전력을 60% 줄이고, 무게는 80% 절감했다. 얇고 가볍고 구부릴 수 있어 인체공학적 디자인이 가능할 뿐 아니라, 유해물질 사용도 최소화했다.

차량용 OLED의 공급 확대를 위해 유리 기판을 사용한 합리적인 가격대의 신제품 ‘ATO(Advanced Thin OLED)’도 소개했다. 일반 유리 기판 OLED 대비 두께가 20% 더 얇아 날렵한 디자인을 구현한 점이 특징이다.

기존 LCD 대비 대형화 및 고해상도 구현이 유리한 ‘LTPS LCD’는 신기술로 경쟁력을 강화한다.

업계 최대 크기인 ‘차량용 57인치 LCD’는 운전석부터 조수석까지 대시보드 전체를 깔끔하게 덮어 새로운 탑승경험을 제공하며 ‘12.3인치 무안경 3D 계기판’은 디스플레이 중앙에 설치된 카메라가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해 입체감있는 3D영상으로 시각적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LGD는 설명했다.

LGD는 이날 초대형, 슬라이더블, 투명 OLED 등 프리미엄 시장을 선도할 혁신 기술 상용화 계획도 공개했다.

우선 차량용 OLED는 대형화에 집중할 계획으로, 올해는 30인치대 P-OLED 상용화를 시작으로 향후 대시보드 전면을 모두 채울 수 있는 50인치대까지 크기를 확대한다. 2025년 이후 투명 OLED, 2026년 이후 슬라이더블 OLED를 순차 상용화할 수 있도록 준비해 모빌리티 혁신과 시장 주도권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한편, 이날 업계 최초의 차량용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와 투명 O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차량용 사운드 솔루션이 탑재된 완전 자율주행 콘셉트카도 공개됐다.

LG디스플레이 Auto 사업 그룹장 김병구 전무는 “차량용 OLED, LTPS LCD 등 차별화 기술을 기반으로 철저한 품질관리, 안정적 공급능력을 앞세워 수주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