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이 카이스트(KAIST)와 배터리 산업을 선도할 전문인재 양성에 나선다.
SK온은 KAIST와 산학협력 교육 프로그램인 ‘SKBEP(SK on - KAIST Battery Educational Program)’ 개설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날 오후 대전시 유성구 KAIST 본관 제1회의실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이승섭 KAIST 부총장, SK온 진교원 사장(COO) 등 양측 관계자가 참석했다. 양측은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고급 공학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설에 뜻을 모았다.
SKBEP는 지원자들이 석사·박사 과정 동안 KAIST에서 배터리 연구 관련 소정의 커리큘럼을 이수하며 SK온 맞춤형 인재로 성장하는 산학협력 교육 프로그램이다.
올해 가을학기부터 배터리 산업과 연관성이 높은 생명화학공학, 화학, 신소재, 전기전자, 전산, AI 등 총 9개 분야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석사·박사 과정 지원자가 대상이며 각 과정 합격 후 별도의 면접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 대상자로 선발된다. 학위 취득과 동시에 SK온 취업이 보장된다.
선발된 학생들에게 등록금 및 별도의 개인 장학금이 지급된다. SK온 현직 연구원과 학생들을 연계, 최신 배터리 기술 특강과 커리어 멘토링을 제공할 계획이다.
SK온은 이번 프로그램을 포함해 각 대학과의 산학협력을 확대하면서 인재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성균관대, 한양대, UNIST와 각각 산학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연세대, 한양대와는 산학협력센터 설립을 발표한 바 있다.
KAIST 이승섭 부총장은 “이번 협력은 다양한 전공 기반의 융합 연구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 기초연구부터 셀, 공정, 시스템을 포함한 전 주기적인 연구가 가능한 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SK온 진교원 사장은 “SK온이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경쟁력을 확보하게 된 배경에는 탄탄한 연구개발 인프라가 있다”며 ”한국 배터리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도 인재양성 노력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엔솔, 한화그룹과 배터리 전방위 협력…美 ESS 시장 확대 ‘맞손’
- SK온, “배터리 전문인재 키운다”…사내 교육 플랫폼 오픈
- “생성AI의 확장, HW/SW 통합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부상 주목해야”
- 테슬라, 美 텍사스 공장 확장에 7억7000만 달러 투입
- 모빌리티 경연장 된 ‘CES 2023’…완성차-빅테크 간 경쟁우위 각축전
- ‘탄소감축 행동’ 내건 SK, CES 전시관에 3만 인파
- 美 모셔널 방문한 원희룡 장관…자율주행차 정책 전략 점검
- GIST 엄광섭 교수팀, EV 주행거리 1.5배 늘린 배터리 양극소재 개발
- 현대모비스, “SW-반도체 통합 플랫폼 개발한다”
- 인공지능융합혁신인재양성 사업 공고…“올해 4개 대학원 뽑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