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LG엔솔) 배터리 개발·제조 중심이 되는 ‘마더 팩토리(Mother Factory)’인 청주시 오창 사업장 명칭이 ‘오창 에너지플랜트’로 변경된다. 사명에 “에너지플랜트는 친환경 에너지를 만드는 공장이라는 의미”라고 LG엔솔은 설명했다.
2일 LG엔솔에 따르면, 사명 변경은 한 구성원이 엔톡(EnTalk)에 “오창 공장이 회사의 비전과 희망을 담은 멋진 이름으로 불렸으면 하는 바람이 큽니다”라고 올린 글이 계기가 됐다.
엔톡은 전세계 3만3000여명의 구성원과 권영수 최고경영자(CEO) 부회장의 온라인 소통 채널이다.
이 게시글에 권 부회장은 “매우 중요한 제안입니다. 검토할게요”라고 답글을 달았고, 이후 구성원의 설문조사 등을 거쳐 최종 결정됐다.
LG엔솔 측은 “많은 글로벌 고객들과 접할 때 단순히 오창 팩토리(Factory)로 소개하는 것 보다는 오창 사업장만의 의미와 역할을 설명할 수 있는 특별한 명칭을 마련해 소통할 필요가 있다는 구성원 의견이 많았다”며 “오창 에너지플랜트라는 이름을 고객 소통 과정에서 적극 활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2004년 준공한 LG엔솔의 대표적인 이차전지 제조공장이다. 약 5천여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전기차(EV), 에너지저장시스템(ESS), IT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다.
현재 연간 기준 18GWh 배터리 생산능력을 갖춘 이 공장은 국내외 제품 개발·제조 허브를 맡고 있다.
LG엔솔은 오창 에너지플랜트 내 팩토리모니터링컨트롤센터(FMCC)를 통해 전세계 생산라인의 모습을 영상으로 데이터화하고 인공지능(AI) 기반의 딥러닝(DL)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생산공장에 정확한 센서를 활용해 설비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이사항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지난해 대규모 투자를 통해 원통형 배터리 신규 폼팩터(4680) 양산설비를 구축하고 기존 원통형 배터리(2170) 라인을 증설하기로 하는 등 배터리 생산라인 신·증설,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투자를 집행하며 생산성 극대화에 집중하고 있다.
관련기사
- LG엔솔·혼다 美 배터리 합작공장 기공식…“2025년 양산 목표”
- 3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93.5…12개월 연속 ‘부정적’
- 美 전기차(EV) 2위 포드, 中 CATL과 미시간 공장 세운다
- 기계연·재료연, 국가전략기술력 확보 협력 ‘맞손’
- 이에이트, “강력한 엔플로우(NFLOW) 솔버로 DW 시장 입지 확대”
- LG엔솔, 美 FEPS와 배터리 공급계약 체결…전기상용차 시장 공략 강화
- 국내 연구진, 양극 기능성 소재 적용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 SK온, 美 우르빅스와 배터리 음극재 공동개발…“IRA 선제적 대응 강화”
- 동박·배터리·충전기…SK ‘전기차(EV) 생태계’ CES 출동
- SK시그넷, ‘CES 2023’ 참전…초고속 EV충전기 ‘V2’ 최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