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에 최적화된 초저전력 UFS 3.1 메모리 솔루션 양산을 시작했다.
13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양산에 들어가는 이 제품은 256GB 라인업 기준 전세대비 소비전력이 약 33% 개선됐다. 삼성전자는 UFS 3.1 제품을 글로벌 자동차OME, 전장부품 업체에 공급하며 미래 성장 동력 중 하나인 차량용 반도체 시장 확대에 나선다.
이번 제품은 IVI 시스템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128GB, 256GB 뿐만 아니라 올해 4분기 생산 예정인 512GB 제품까지 공급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것으로 기대된다. 256GB 제품 기준 연속 읽기 속도 2,000MB/s, 연속 쓰기 속도 700MB/s를 제공한다.
차량용 반도체 품질 기준인 AEC-Q100 그레이드2를 만족해 영하 40도에서 영상 105도까지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한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조현덕 상무는 “이번 저전력 차량용 UFS 3.1 제품은 ESG 경영이 중요해지는 차세대 메모리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이며, IVI에 특화된 솔루션을 적기에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 양산을 통해 전장 스토리지 제품군의 응용처를 확대하며 2022년 출시한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용 UFS 3.1 제품과 함께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4월 고객사에 ADAS용 UFS 3.1 제품으로 오토모티브 스파이스(이하 ASPICE) CL2 인증을 받았다.
7월에는 공신력을 가진 자동차 인증기관 씨엔비스(C&BIS Corp)를 통해 실제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는 ADAS용 UFS 3.1 제품으로 다시 한번 ASPICE CL2 인증을 획득해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요구하는 높은 안정성을 검증받았다.
관련기사
- LG전자, VS사업본부 출범 10주년…“2030년 리더기업으로 글로벌 도약”
- SK하이닉스, 국내 반도체 기업 최초 ASPICE 레벨2 인증 획득
- 완전자율주행 핵심 ‘HD맵’, 기술 특허출원 크게 늘었다
- LG전자 자회사 ‘ZKW’, 獨 레하우오토모티브와 ‘지능형 차량 프론트’ 개발
- 덴소, UMC 日 미에현 팹에서 IGBT 양산 개시
- “전기차(EV) E/E 아키텍처 48V 전환 시 차량 경량화 진전”
- 日 ‘오토모티브월드 2023’ 전시회 성료, 7만5천여명 다녀갔다
- AMD, 日 덴소 ‘차세대 라이다 시스템’에 MPSoC 공급
- 모빌리티 경연장 된 ‘CES 2023’…완성차-빅테크 간 경쟁우위 각축전
- IAR시스템즈, 기가디바이스 전장 MCU ‘GD32A503’ 지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