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고도화로 생산성 제고 및 다운타임 감소 기대
SK온이 국내외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배터리 생산장비 지능화를 추진한다. ICT를 활용해 장비 효율 극대화·생산성 제고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SK온은 26일 서울 종로구 그린캠퍼스에서 백호프오토메이션, 시스코, 아이에프엠일렉트로닉, 한국야스카와전기, 우원기술과 배터리 생산장비 제어 및 통신시스템 고도화 협력을 골자로 하는 6자 간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는 백호프와 아이에프엠은 각각 자동화 솔루션과 스마트 센서 분야에서 전문성을 자랑한다. 야스카와전기는 산업용 로봇, 기계 제조로 유명하며 시스코는 세계 최대 네트워크 장비회사다. 우원기술은 배터리 조립 장비 전문 국내기업이다.
SK온은 이들 회사가 제공하는 기술과 서비스 성능·품질·안정성을 검증하고 생산장비 지능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SK온은 대규모 장비 개조 없이 원가절감, 수율 향상 등 제조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SK온은 협력사들과 함께 장비 제어를 관장하는 컨트롤러,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센서, 통신 네트워크와 전력 장치 등 배터리 생산장비와 관련된 핵심부품과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컨트롤러 업그레이드는 장비 속도 개선과 밀접하게 연관돼 생산량 향상에 기여하고, 지능화된 스마트센서는 장비 상태·오류 관련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해 오류 발생 시 복구 시간을 단축시켜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 고도화는 다운타임이 축소되고 데이터 이중화 및 보안이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K온은 장비 원격제어의 발판이 마련되면 그간 추진해 온 스마트팩토리 전략에 탄력을 붙을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SK온은 현재 건설 중인 서산 3공장에 스마트팩토리를 구현하고 기존 공장 역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최신 솔루션 적용에 나서고 있다.
오기영 SK온 핵심설비기술담당 전문위원은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SK온은 생산장비 지능화를 통한 스마트팩토리 구축기반을 마련하겠다”며 “향후 제조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국내외 파트너사와 협력할 것”이라 말했다.
관련기사
- BYD, 헝가리에 전기차(EV) 공장 세우나…“현지 정부와 최종협상 중”
- 3분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 29% 늘었으나…中 ‘판매부진’ 美 ‘공급과잉’
- LG전자, 차량용 투명 안테나 ‘CES 2024’서 공개 예고
- 모빌리티(MaaS/TaaS) 혁명 키워드…“소프트웨어정의차량(SDV)을 주목하라”
- SK온 최재원, “창사이래 퀀텀점프…함께 할 것 많다”
- LG엔솔, 폴란드 ICPT와 상용전기차 배터리 모듈 공급계약
- SK온, 獨 바스프와 양극재 생산 협력 논의…“북미·아태 중심 협력 강화”
- 주춤한 전기차(EV) 시장…소비심리 악화에 성장폭 축소
- LG엔솔·현대캐피탈, 전기차 특화 금융상품 ‘배터리 라이프케어’ 론칭
- ETRI, 프로그램 없는 로봇 제어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