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자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차세대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킹(SDN) 컨트롤러를 자체 개발하고 핵심 인터넷 네트워크(백본망)에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차세대 SDN 컨트롤러는 KT의 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요 장비에 대한 제어를 자동화하는 솔루션이다. 모든 제어 명령어를 자동화하고 명령어 실행되기 전 유효성을 검증해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고 필요한 경우 원클릭으로 복구하는 기능이 탑재됐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해 휴먼에러를 막고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다는 게 KT의 설명이다.
컨트롤러는 현재 네트워크 장비의 브랜드와 관계없이 모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표준(NETCONF/YANG)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분야 직원은 차세대 SDN 컨트롤러로 업무를 자동화하기 위해 템플릿(명령어세트)을 생성하고 간단하게 워크플로우를 정의하면 된다.
KT는 차세대 SDN 컨트롤러 개발을 통해서 네트워크 운영자동화를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향후 자율적 동작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황을 인지·분석·판단하는 AI기술 개발해 복잡한 상황도 미리 대응할 수 있게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KT 네트워크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차세대 SDN 컨트롤러로 인터넷 백본망 모든 운영을 자동화해 네트워크 안정성이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완전 자율 네트워크 운영체계로의 전환을 앞당기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개발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주니퍼네트웍스 품은 HPE, 140억 달러 규모 ‘빅딜’
- 한국주니퍼, 아리랑국제방송 저지연 네트워크 구축
- KT, KOREN 백본 고도화…국내 최초 1Tbps 백본망 구축
- HPE아루바, KT에 SD-WAN 플랫폼 공급
- 데이터센터 현대화의 중심으로 주목받는 하이퍼컨버지드인프라(HCI)
- KT, 佛 ‘네트워크X 2023’ 참전…초소형 OLT 등 차세대 기술 선봬
- SKT, 국내 최초 400Gbps 급 백본 상용망 도입한다
- 엔비디아, NTT도코모와 GPU 가속 5G 네트워크 기술 협력 ‘맞손’
- 스파이런트, 차세대 이더넷 테스트용 소형 M1 어플라이언스 출시
- SKB, 과기정통부·NIA 주관 ‘지능형 초연결망 선도·확산’ 사업 추진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