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전남 고흥 UAM 실증단지에서 진행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4일 전했다.
K-UAM 원팀은 지난 3월부터 진행된 이번 실증에서 전기수직이착륙항공기(eVTOL)와 UAM 운용 시스템, 5G 항공망 통합 운용 등을 검증했다.
KT는 자체 개발한 UAM 교통관리시스템으로 정상적인 비행 상황뿐만 아니라 충돌, 통신장애 등 돌발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검증했다. 검증 항목은 ▲비행 계획서 분석 ▲회랑 관리 ▲교통 흐름 관리 ▲항로 이탈 모니터링 ▲운항 안전 정보 생성 및 공유 ▲이착륙 순서 관리 등이다.
UAM 위치 정확도가 요구되는 도심에서도 안전한 운항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항공 교통 감시 시스템에 초정밀측위 시스템(RTK-GNSS)도 추가 적용해 실증했다. RTK-GNSS는 5G가 수신한 보정 정보로 UAM 위치를 센티미터 수준의 오차를 두고 파악하는 기술이다.
KT는 “이번 실증에서 RTK-GNSS를 통해 얻은 위치 정보를 1초에 10번 UAM 교통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면서 기존 항공 감시 시스템 대비 10배 더 빠른 주기로 관제할 수 있게 돼 안정적이고 끊김 없는 교통 관리가 가능함을 검증했다”고 밝혔다.
KT는 UAM 관제와 운용의 기반인 항공망도 구축했다. 항공망을 5G와 위성으로 이중화했고, 항공-지상 간 소통을 위해 초단파무선통신(VHF)과 5G 항공망을 이용한 음성 통신도 성공적으로 시험했다.
5G 항공망이 UAM 운항 고도인 300~600m에서 안정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도록 ▲3차원 커버리지 설계 기술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술 ▲특화 안테나 기술 등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했다.
KT 기술혁신부문 서비스테크랩장 홍해천 상무는 “국토부의 UAM 상용화 계획에 맞춰 K-UAM 원팀 컨소시엄과 함께 그랜드 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을 완수했다”며 “이번 실증으로 KT가 수집 및 확보한 방대한 실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UAM 통합 운용 체계의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서울시, 디지털 3D 공간정보 지도 ‘S-맵’ 업데이트
- SKT, “글로벌 텔코 AI 협의체 활동 본격화”
- ‘MWC 2024’ 현장 찾는 통신3사…AI신기술 공유·신사업 확장 논의 잰걸음
- [그것을 알려주마] 2024년 ICT 정책 톺아보기
- 국토부, ‘UAM 인증기준 안내서’ 마련…UAM 조기 상용화 지원
- SKT, 140억원 규모 성남시 ITS 구축사업 수주
- SKT·조비, UAM 상용화 시동 속도전…“내년 조비 기체 국내 들어온다”
- LGU+, 서울교통공사와 UAM 복합환승센터 조성 ‘맞손’
- KT·현대차, 7,500억 규모 지분 맞교환…모빌리티 신사업 ‘맞손’
- 미래 스마트 물류 기술 한 자리에…‘2024 국제물류산업대전’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