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특화 AI시스템, 제동시스템 등 주요 부품으로 확대 적용
현대모비스가 제품 검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소리를 인공지능(AI)이 품질 정확도를 판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생산 현장에 적용한다.
19일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모터제어 파워스티어링(MDPS)을 생산하는 창원공장에 어쿠스틱(Acoustic) AI 기반 검사시스템을 최근 시범구축했다.
어쿠스틱 AI는 소리를 매개체로 하는 차세대 AI기술이다. 특정 소리에 의미를 부여하고 적절한 판단을 내리도록 돕는 알고리즘 개발이 핵심이다.
현대모비스는 창원공장을 시작으로 이 검사시스템을 다른 부품 공정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제동장치 등 움직임에 따라 필연적으로 소음이 발생하는 부품들이 우선 대상이다.
스마트팩토리에 적합한 어쿠스틱 AI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실제로 창원공장에 구축한 검사시스템은 1초에 한 대씩 품질을 검사할 수 있다.
현재 창원공장에서는 연간 130만대 규모의 MDPS를 생산하고 있다. 공정은 부품체결을 비롯해 진동과 소음검사 등 총 23개의 과정으로 이뤄진다.
MDPS는 스티어링휠(핸들)을 통해 조향성능을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안전부품으로 꼼꼼한 품질확인 작업이 필요하다. 이 중 소음검사는 MDPS에 실제 동력을 연결해 실시하고 있다.
MDPS에 달린 모터가 회전하며 발생하는 소리는 일정한 물결 모양의 파형을 그리는데 파형이 튀거나 높낮이가 다른 미세한 영역을 AI가 판단하는 형태다.
기존에는 조립과정을 거쳐 기준치를 밑도는 불량 의심 제품을 자동화 시스템이 1차로 걸러내고 전문인력이 재판별해왔다.
현대모비스는 어쿠스틱 AI의 효용성을 확인하고 이를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선도적으로 개발 도입한 어쿠스틱 AI를 통해 유의미한 데이터를 지속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 AI 모델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DT추진실장 최낙현 상무는 “자동차 분야는 물론 글로벌 제조산업 전체에서도 선도적인 공정 혁신사례”라며 “생산기술은 물론 연구개발과 업무환경 개선에도 AI기술을 활용한 차별화된 신기술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데스크칼럼] 정부發 ‘초격차’ 스타트업 군불 때기, 기대해도 되나
- LG전자, SDV 플랫폼 ‘LG알파웨어’로 모빌리티 시장 공략 시동
- “국내 전장부품 기업 핵심 데이터, 다크웹에서 거래 중”
- LG화학, 차량용 SGF 필름 시장 진출…獨 베바스토와 수주계약 체결
- 인공지능(AI) 시대에 확산되는 개인정보 오남용…“방지책 마련해야”
- 솔루엠, 멕시코 신공장 본격 가동…“글로벌 주요 생산거점 확보”
- “검증받은 레퍼런스가 돌파구”…日 전장시장 찾은 韓 강소기업들
- 내년도 국내 반도체·휴대폰 ‘일부 긍정’…디스플레이·자동차 ‘일부 부정’
- “미래 스마트카 경험 엿본다”…LG전자, 모빌리티 기술 콘셉트 공개
- 피아이이, ETRI ‘3D CT 검사’ 기술이전 협약…비파괴 기술 포트폴리오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