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더멘탈 강화, 조직별 투자 유연성·효율성 제고 주문
LG에너지솔루션(LG엔솔) 김동명 사장이 자만하지 말고 겸손한 자세로 도전과 혁신에 나설 것을 구성원들에게 주문했다.
김동명 사장은 4일 오전 구성원들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질적 성장을 통한 기업가치 일등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근성과 체력을 기르고 자만심을 버리며 도전과 혁신의 DNA를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터리 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이 변화한 상황에서 김 사장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배터리 산업을 바라보는 시장의 시각이 많이 변했고, 배터리 외 산업에서도 최고로 인정받던 기업들이 변화의 방향성과 속도에 맞춰 제때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해 큰 어려움에 봉착하기도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모든 것을 어려운 업황 탓으로 돌리거나 미래 성장 전망이 밝다는 이유만으로 막연히 미래를 낙관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과거 배터리 분야의 혁신을 주도하며 자리잡은 일등이라는 자신감이 오히려 자만심으로 변한 것은 아닌지 냉정히 반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펀더멘탈(기초체력) 강화’에 대한 집중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기존 관행들을 과감하게 바꾸고 투자의 속도 조절에 나서고 있는 현재, 모든 것을 재검토하고 낭비요인은 없는지 점검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김 사장은 “지금까지 공격적인 수주와 사업 확장을 추진하며 인력·설비·구매 등 분야에서 많은 비효율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라며 “누구보다 먼저 시장을 개척하며 생긴 일이지만 같은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 되며 실패한 경험을 자산화하고 축적된 운영 역량과 결합해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승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 조직별 투자 유연성·효율성 제고를 위한 고민도 당부했다. 김 사장은 “지금은 투자의 속도 조절이 필요한 시기”라며 “꼭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는 민첩성을 확보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달 2일 르노 전기차 부문 암페어와 전기차용 파우치 LFP배터리 공급계약 체결과 관련해서는 “LG엔솔만의 제품 경쟁력과 차별화된 가치를 인정받은 사례”라며 “어려운 시기 이룬 고무적인 성과이며 이 같은 성공경험을 하나씩 쌓아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어 “과거 영광에 사로잡히지 말고 사업과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전면적으로 개편해 나가며 조직 전체의 혁신을 가속화해 나가야 할 시기”라며 “저부터 더 낮고 겸손한 자세로 최선을 다하겠다. 힘을 모아보자”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3거래일 연속 상승세’ 테슬라…주가 올 초 수준으로 회복
- LG엔솔, 르노 차세대 EV에 LFP배터리 공급…첫 대규모 수주
- 현대모비스, “최근 3년간 3천건 특허출원…950여건은 친환경차 분야”
- SK온, 美엑손모빌과 리튬 공급망 확대 ‘맞손’
- 테슬라 주행보조SW FSD, 中상하이서 테스트 승인…중국시장 ‘청신호’
- LG엔솔, ADI와 BMIC 공급계약 체결…“BMTS 고도화로 경쟁력 제고”
- 삼성스토어, 전기차(EV) 충전소 매장 확대…연말까지 5개 매장 추가 도입
- LG전자 ‘웹OS’, 기아 전기차 EV3에 적용된다
- 글로벌 전기차(EV) 판매량 증가세…“BEV 판매 저조, PHEV 판매 호조”
- 韓·中·日 기업 “3국 간 관계 개선 필요” 인식…이유에서는 온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