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프랑크푸르트에 유럽 IP센터 개소

김완기 특허청장(왼쪽 세 번째)이 12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유럽지식재산센터 개소식에 참석, 축사한 뒤 유럽에 진출한 국내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특허청]
김완기 특허청장(왼쪽 세 번째)이 12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유럽지식재산센터 개소식에 참석, 축사한 뒤 유럽에 진출한 국내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특허청]

독일에 유럽지식재산센터가 개소하면서 유럽에 진출하는 우리기업들에 대한 정부의 지식재산(IP) 보호 서비스가 강화될 전망이다.

특허청은 12일(현지시각)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유럽지식재산(IP)센터 개소식을 갖고 현지 진출 기업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기존 해외지식재산센터(IP-DESK)에서 올해부터 지원 기능과 범위가 확대 개편되는 광역형 유럽 IP센터의 출범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허청은 올해부터 해외지식재산센터 운영에 있어 하나의 센터가 주변 국가를 포괄 지원하는 광역형으로 전환하고 변호사·변리사 등 전문인력을 센터에 배치해 현장 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했다. 

유럽연합(EU)은 미국·중국에 이은 우리나라의 세 번째로 큰 교역상대로 2천여개의 우리기업이 진출해있는 거대시장이다.

지난해 6월 유럽 단일특허제도가 시행됐고 우리기업 대상 특허분쟁도 최근 5년간 45건으로 미국·중국 다음으로 많아 우리 수출기업들의 지재권 보호에 대한 수요가 높은 상황이다.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독일 IP-DESK도 유럽 10개국에 진출한 우리기업을 지원하는 광역형 유럽 IP센터로 확대·개편됐다. 특허청은 이번 유럽 IP센터의 출범을 계기로 지재권 애로해소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허청은 이날 개소식 행사 후에 현지 진출 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지식재산 분야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을 청취하고 이에 대한 정부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간담회 참석 기업들은 ▲해외 기업들과 비즈니스 계약 작성시 지재권 관련 조항들의 검토 필요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한 정보 부족 ▲해외 지재권 확보 등에 대한 애로해소와 지원을 요청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전세계 보호무역주의 및 기술패권경쟁 심화로 인해 우리기업의 해외진출 시 지재권 보호 및 분쟁대응이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개편된 해외지식재산센터를 통해 보다 많은 국가에서 우리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시 지재권 측면에서의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