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정 대표 등 경연진과 미래 사업 추진안 논의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이천캠퍼스 HBM 생산라인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SK하이닉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이천캠퍼스 HBM 생산라인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SK하이닉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5일 경기도 이천 SK하이닉스 HBM 생산 현장을 찾아 반도체 현안을 직접 챙겼다.

SK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이날 SK하이닉스 본사인 이천캠퍼스를 찾아 SK하이닉스 곽노정 대표 등 주요 경영진과 함께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라인을 둘러보고 AI메모리 분야 사업 현황을 점검했다.

최 회장이 살펴본 HBM 생산라인은 최첨단 후공정 설비가 구축된 시설이다. SK하이닉스는 이 곳에서 지난 3월부터 업계 최고 성능의 AI용 메모리인 5세대 HBM(HBM3E) 8단 제품을 양산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AI메모리 리더십을 공고히 하기 위해 차세대 HBM 상용화 준비에도 집중하고 있다. HBM3E 12단 제품을 올해 3분기 양산해 4분기부터 고객에게 공급할 계획이며, 6세대 HBM(HBM4)은 내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최 회장은 HBM 생산라인을 점검한 뒤 곽노정 대표와 송현종 사장, 김주선 사장 등 SK하이닉스 주요 경영진과 함께 HBM을 비롯한 D램·낸드, 제품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미래 사업 추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가 지금은 HBM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지만 내년에 6세대 HBM이 상용화되면 더 경쟁이 치열해질 것”라며, “어려울수록 흔들림 없이 기술 경쟁력 확보에 매진하고 차세대 제품에 대해 지금부터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1월4일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 현장 경영에 나선 후 글로벌 빅테크 CEO들과 연쇄 회동 등을 통해 AI반도체 리더십 강화 및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4월 미국 앤비디아 본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만나 글로벌 AI 동맹 구축 방안을, 6월에는 대만을 찾아 웨이저자 TSMC 회장과 양사 간 협력안을 논의한 최 회장은 지난 6월 말부터 약 2주간 미국에 머물며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인텔 등 주요 빅테크 CEO와 회동하며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SK 관계자는 “최 회장은 SK의 AI 밸류체인 구축을 위해 국내외를 넘나들며 전략 방향 등을 직접 챙기고 있다”며, “SK는 HBM, 퍼스널 AI 어시스턴트 등 현재 주력하고 있는 AI 분야에 더해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 AI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