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가 올해 2분기 영업익이 2,540억원으로 전년동기비 11.8% 줄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동기간 1.9% 늘어난 3조4937억원, 순이익은 1,646억원으로 22.8% 줄었다.
LG유플러스는 “모바일 사업과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이 성장했으나 고객 정보 관리 등 업무에 활용하는 신규 전산망 구축에 대한 상각 비용이 반영되면서 영업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공시자료에 따르면, 영업 매출에서 단말 매출을 제외한 서비스 매출은 무선 사업 매출이 성장하고 B2B 신사업을 확장하면서 전년동기비 1.6% 증가한 2조9439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 사업 매출은 이동통신(MNO)과 알뜰폰(MVNO) 가입회선 증가에 따라 전년동기비 1% 증가한 1조5926억원이다. MNO와 MVNO를 합한 전체 무선 가입회선 수는 2,722만3000개로 전년동기비 25.6% 늘며 4개 분기 연속 20%대 성장세를 이어갔다.
MNO 가입회선은 지난해 2분기 1,680만3000개보다 18.1% 늘어난 1,983만7000개로 집계됐다. 해지율은 1.12%다. MVNO 회선도 동기간 51.5% 늘어난 738만6000개를 달성하며 무선 가입회선 증가에 기여했다.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솔루션, 기업회선 등 B2B 사업을 담당하는 기업 인프라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비 5.4% 증가한 4,315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IDC 사업 매출은 동기간 15% 늘어난 917억원으로 집계되면서 이 부문 사업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AI컨텍센터(AICC), 스마트모빌리티 등 B2B 신사업을 포함하는 솔루션 사업은 동기간 2.7% 성장한 1,30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초고속인터넷과 IPTV 사업으로 구성된 스마트홈 부문은 가입회선이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비 2.5% 증가한 6,18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2,833억원으로 동기간 6.5% 늘었고 가입회선도 4.4% 늘었다.
IPTV 매출은 전년동기(3,369억원)와 유사한 3,34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가입회선은 같은 기간 2.3% 증가했다. 순증 가입회선은 66.4% 증가한 3만9000개로 집계됐다.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최고리스크책임자(CRO) 여명희 전무는 “올해 하반기에도 전체 사업 영역의 AI 전환에 집중해 서비스 경쟁력을 혁신해 나갈 것”이라며 “시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해 의미 있는 성과 창출과 주주 이익을 제고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스웨이브, AI 증강 UI 플랫폼 ‘웹스퀘어AI’로 GS인증 획득
- 물거품된 제4이동통신…스테이지엑스, 주파수 할당대상법인 선정취소 확정
- “PASS 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 실물 신분증과 동일 효력 갖는다”
- 현대모비스 2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6,361억원 전년동기비 4.2% 감소
- LG엔솔 2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1,953억원 전년동기비 57.6% 감소
- KB국민은행·소프트웨어공제조합, SW기업 대상 국내외 금융지원 확대 ‘맞손’
- 통신3사, 전파진흥협회와 5G IoT 개발 中企 지원 확대
-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 데이터 사용료 면제된다
- 삼성, 40만원대 5G 스마트폰 ‘갤럭시A35 5G’ 21일 출시
- LGU+ ‘너겟’, 요금제 라인업 전면 개편…“1천원 단위로 18종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