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합동 대응 전략 공유, 법적 방안도 논의

김완기 특허청장(앞줄 왼쪽에서 4번째)이 이철규 국회의원(앞줄 왼쪽에서 5번째) 등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특허청]
김완기 특허청장(앞줄 왼쪽에서 4번째)이 이철규 국회의원(앞줄 왼쪽에서 5번째) 등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특허청]

특허청이 위조상품 유통방지 협의회 출범 10주년을 맞아 위조상품 대응 전략을 공유하는 ‘민·관 협력 위조상품 대응강화 컨퍼런스’를 26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개최했다.

이날 컨퍼런스에는 위조상품 유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위조상품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상표권자, 민간협회 및 네이버, 쿠팡, 11번가 등 국내 주요 온라인 플랫폼사와 유관 공공기관 등 총 150여명이 참석해 위조상품 유통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행사는 패션·화장품·완구 등 위조상품 전시회 관람으로 시작됐다. 특허청·관세청 협업으로 통관 단계에서 차단된 해외직구 짝퉁 물품과 특허청 특사경이 압수한 위조상품, 정품과 짝퉁을 구별해 보는 정·가품 비교전시 코너가 마련됐다.

이어 민·관이 함께 짝퉁 대응 전략과 실제 차단 성과를 공유하고, 현행 법·제도 개선 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특허청은 해외직구 위조상품 유통을 미리 막기 위해 특허청이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면 관세청이 해당 물품의 국내 반입을 차단하는 특허청-관세청 협업 시스템을 소개했다. 올해부터 시범 도입 중인 AI 위조상품 모니터링 성과 등도 공유했다.

네이버와 쿠팡은 자체의 위조상품 유통 방지 노력과 성과를 공유하고 한국지식재산보호원에서 온라인 플랫폼사의 위조상품 유통방지 현황을 소개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온라인 위조상품 유통방지 제도개선 방안을 다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발표에 따르면 우리 기업 상표를 침해하는 전세계 위조상품 무역 규모는 2021년 한 해 약 11조원으로 추산되고 약 1만3000여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등 악영향이 상당한 상황이다.

패널토론에서는 신고 시 판매물을 즉시 내리는 신고-차단(Notice&Takedown) 시스템과 해외 플랫폼사의 책임 강화를 위한 국내 대리인 지정 의무화 등이 논의됐다.

김완기 특허청장이 이날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특허청]
김완기 특허청장이 이날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특허청]

김완기 특허청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K-브랜드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우리 제품을 모방하는 위조상품도 함께 증가하여 피해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 혼자만의 힘으로는 쉽지 않고, 민관이 협심하여 공동 대응하고 국회와도 적극 협력해 상표 가치를 보호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이철규 의원은 “위조상품은 단순 경제적 피해를 넘어 사회의 신뢰를 훼손하는 행위”라며, “위조상품 문제로부터 기업과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국회 차원에서도 관련 법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