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소비자원, 연말 할인행사 등 직구 시 주의 당부

정부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에서 판매되는 위해제품 약 2천건을 차단했다. [사진=로이터]
정부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에서 판매되는 위해제품 약 2천건을 차단했다. [사진=로이터]

정부가 5월부터 지난달까지 직접구매(직구)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위해제품 판매 링크와 페이지 약 2천건을 차단했다. 차단된 제품 중에는 가전·전자기기와 아동·유아용품이 가장 많았다.

20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5월부터 지난달까지 1,915건의 알리익스프레스·테무 위해제품 판매 및 재판매 링크와 페이지를 차단했다. 이는 지난 5월13일 알리익스프레스·테무가 공정위와 ‘자율제품안전협약’을 맺은 데 따른 조치다.

공정위에 따르면, 해외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리콜된 제품의 해외 플랫폼 유통 여부를 모니터링한 결과 총 1,052건의 위해제품을 차단했다.

부처별 실시간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결과 부적합 제품 506건, 안전성 조사 부적합 제품의 재유통 여부를 점검한 결과 총 357건을 각각 차단했다.

판매 차단 내용을 품목별로 살펴본 결과, 가전·전자·통신기기가 631건(33.0%)으로 가장 많았고, 아동·유아용품 588건(30.7%), 액세서리류 293건(1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판매 차단 원인에서는 가전·전자·통신기기(631건)의 경우 유해물질 함유(납/카드뮴 등)가 359건(56.9%)으로 가장 많았다. 감전 위험 등이 132건(20.9%), 충전기에서 접지 미흡으로 플러그 발화가 우려되는 폭발·과열·발화 등이 84건(13.3%)으로 뒤를 이었다.

아동·유아용품(588건)의 경우도 유해물질 함유가 281건(47.8%)으로 가장 많았다. 부품 탈락 및 질식위험은 238건(40.5%)을 차지했다. 액세서리류는 293건 모두 유해물질 함유로 인해 판매 차단됐다.

정부의 안전성 조사결과 및 해외리콜 정보는 공정위 ‘소비자24’,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해외직구를 통한 위해제품의 국내 유입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감시를 강화할 예정이다. 

[공정위 자료인용]
[공정위 자료인용]

특히, 해외위해물품관리실무협의체에 참여하는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 및 집중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위해제품이 재유통 되지 않도록 상시 모니터링을 계속하는 한편 알리익스프레스·테무와도 감시 인력 및 시스템 확충 등을 지속 협의할 계획이다.

해외직구 규모도 매년 늘고 있는 상황에서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해외직구로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의 구성·성분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해외 리콜 정보 및 안전성 조사 결과도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블랙프라이데이(미국 11월29일), 박싱데이(영국 12월26일) 등 대규모 할인행사로 연말 해외직구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직구 시 제품의 구성·성분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등 특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