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 에너지 순환 기여 사업모델 구축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국내 최대 규모 해상풍력단지인 제주 한림해상풍력단지의 재생에너지 입찰 서비스 운영사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자 선정으로 LG엔솔은 재생에너지 입찰 제도를 통해 운영되는 국내 모든 해상풍력단지의 운영을 맡게 됐다. 앞서 LG엔솔은 제주도 내 첫 해상풍력단지인 탐라해상풍력의 전력중개사업자로서 안정적인 입찰 관리 및 운영을 통해 기술 리더십을 인정받은 바 있다.
한림해상풍력단지는 국내 최대 규모인 100MW급 해상풍력단지로 서울 여의도 면적(2.9㎢)의 2배에 달하는 해상 면적 5.5㎢에 5.56MW 풍력 터빈 18기를 운영한다. 에너지 생산량은 연평균 23만4913MWh 수준이다.
LG엔솔은 한림해상풍력단지의 발전량을 예측하고 하루 전 및 실시간으로 재생에너지 입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후 한국전력거래소의 입찰 제도에 참여해 전력 거래가 이뤄져 재생에너지가 최종적으로 전국의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제주도를 시작으로 재생에너지도 화력발전소처럼 입찰 제도를 도입해 급전자원화해 운영하고 있다.
LG엔솔은 “현재 단독형 ESS를 구축해 가상발전소(VPP)를 운영하는 유일한 업체”라며 “이와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입찰에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뛰어난 재생에너지 운영 능력으로 낮은 발전량 예측 오차율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LG엔솔은 제주도 내 위치한 모든 해상풍력단지의 재생에너지 입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해상풍력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해상 상황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육상풍력, 태양광 등 다른 재생에너지에 비해 예측과 관리가 어려운 에너지로 꼽힌다.
LG엔솔 황원필 EaaS사업 담당은 “LG엔솔은 재생에너지 입찰 시장에서 압도적 1위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배터리 제조를 넘어 에너지 순환에 기여하는 사업 모델을 안정적으로 구축해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솔루스첨단소재, 지난해 매출 5,710억원…전년비 33% 증가
- 산업부, 제조안전 분야 AI기술 접목 추진…위험요인 사전 예방
- SK온, 3사 합병작업 마무리…“원소재 조달 역량·재무 건전성 강화”
- LG엔솔,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100대 기업’ 선정
- 中스마트폰 시장 2년만에 반등…비보·화웨이가 시장 성장 주도
- LG엔솔, TUV라인란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레벨3 인증 획득
- 엘앤에프 “올해는 기술혁신·조직강화 원년…2026년 LFP 양극재 양산 목표”
- LG엔솔 김동명 “기업가치 1등 엔솔 2.0 기반 다지는 2025년 만들자”
- 슈나이더, EV 배터리 제조 품질관리 솔루션 발표
- 국내 배터리3사, 내달 ‘인터배터리 2025’서 신제품·기술 각축전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