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로이트 리포트, 완성차 시장 여전히 내연기관·하이브리드 강세
BYD 등 中 EV업체 국내 시장 진출에 ‘주목’
한국딜로이트그룹이 전세계 30개국 3만1000여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리포트(2025 글로벌 자동차 소비자 조사)를 내고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차량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전기차(EV) 캐즘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EV 캐즘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주제가 아니다. 리포트에 따르면 미국(62%)은 물론 동남아시아·인도(54%), 독일(53%) 등에서는 가솔린이나 디젤(ICE)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배터리 전기차(BEV) 선호도는 각각 5%, 11%, 8%, 14%에 그쳤다.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은 하이브리드(HEV)에 대한 선호가 31%, 35%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EV 캐즘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EV 구매 의향을 피력한 소비자들은 연료비 절감과 친환경성, 조용함이나 향상된 차량 성능 등의 주행경험을 구매 결심 이유로 꼽았다.
우리나라 소비자의 경우에는 ‘낮은 연료 비용(57%)’, ‘친환경(43%)’, ‘낮은 유지·관리 비용(38%)’, ‘정부 인센티브·보조금 구매촉진 프로그램(35%)’의 순으로 집계돼 경제성에 보다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제성을 우선하는 국내 소비자 성향이 확인됨에 따라 중국 EV업체의 국내 시장 침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다. 저비용을 강점으로 하는 중국 EV의 국내 진출이 본격화될 때 한국 완성차 업체의 시장 점유율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반대로 EV에 대해 소비자들이 갖고 있는 가장 큰 우려사항은 긴 충전시간과 짧은 주행거리, 비용, 충전 인프라 부족, 배터리 안전성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글로벌 소비자들이 충전소 접근성, 보안, 편의 시설보다 빠른 충전 시간이 중요하다고 답한 가운데 중국 전기자동차 제조 브랜드인 지커가 초고속 충전소 이용 시 10분 30초 만에 최대 80%까지 충전되는 배터리 공개가 미칠 파장도 주목된다.
이외에 우리나라의 소비자 31%는 완성차 제조기업이, 5%는 차량 딜러가 전기차 배터리 후처리와 재활용 책임 주체라 생각한다고 답한 점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국내 소비자의 이러한 응답은 전세계에서 일본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중국 소비자의 절반 이상(55%)은 이전 차량과 동일한 브랜드의 차량을 구매했다. 더불어 약 1/3은 현재 차량이 첫 차량이라고 답해 중국 시장에서는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강력한 고객 관계 구축이 중요 요소라고 평가된다.
차량 구매 브랜드 선호도로는 일본 76%, 인도 49%, 한국 48% 소비자는 자국 자동차 브랜드를 선호한다고 답했으나 영국은 19%에 불과해 각국의 소비자 선호도가 다르다는 점도 확인됐다.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들을 중심으로는 커넥티드카 선호 분위기가 강하게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56%의 소비자가 스마트폰과 차량 연결이 중요하며, ‘긴급 상황 지원(71%)’, ‘차량·보행자 자동 탐지(71%)’, ‘도난 추적(66%)’ 등의 기능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차량 데이터 관리 측면에서는 한국 40%, 일본·동남아 30% 소비자가 자동차 제조업체를 가장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독일·미국·영국 소비자들은 특정한 신뢰 주체가 없는 것으로 조사돼 커넥티비티 서비스의 수익화를 목표로 하는 기업에 도전과제가 될 가능성이 확인됐다.
모빌리티 서비스(MaaS)에 대한 관심 증가도 확인됐다. 우리나라의 소비자 12%를 비롯해 인도 18%, 중국 10%가 현재 개인차량과 MaaS를 동일한 비중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5년 후에는 각각 18%, 19%, 18% 소비자가 동일 비중으로 사용할 것이라 밝혔다. 전세계적으로도 향후 5년 동안 개인 차량 사용을 줄이고 MaaS를 더 많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젊은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개인 차량 소유를 포기하고 차량 구독 서비스를 고려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이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재정적 부담을 줄이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국가별로 차량 구독에 대한 선호도에는 차이가 나타나 인도와 중국에서는 젊은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차량 구독에 관심을 보인 반면,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해당 비율이 30% 이하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관련기사
- 데이터센터·EV 확산세로 전력수요 급증…IEA “전세계 연평균 4% 증가”
- 슈나이더, EV 배터리 제조 품질관리 솔루션 발표
- 혼다·닛산 합병 결렬…글로벌 완성차OEM 3위 도약 물거품
- 산업부, 올해 미래차 R&D·기반구축에 5천억원 투자
- SK하이닉스, 메모리 업계 최초 완성차 정보보안 인증 ‘TISAX’ 획득
- 가트너 “불확실성 확대에도 올해 EV 출하량 17% 증가 전망”
- [그것을 알려주마] 정부-민간 협력 기반의 혁신과 MaaS의 미래
- 친환경차 키운다…정부, 전기차 핵심 소부장 기술에 4,300억원 투자
- 로보택시 산업, 2024년 약진…글로벌 시장 두드린다
- 현대차그룹, 올해 24조3000억원 국내 투자…역대 최대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