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2026년 국가 R&D 투자방향·기준안 공개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정부가 내년도 연구개발(R&D) 투자방향으로 인공지능(AI) 등 게임체인저 기술 투자, 차세대 전략기술 투자 강화, 과학기술 인재 성장·유입 촉진 등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투자방향 초안을 공개했다.

이번 공청회는 산업계와 연구계, 학계 등 연구자들과 국민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의견수렴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열렸다. 투자방향은 내년 정부 R&D 투자 분야와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으로 정부 R&D 예산 배분·조정 지침으로 활용된다.

공개된 투자방향을 살펴보면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첨단산업·안보를 지키는 과학기술 주권 확립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국가 임무 해결 등 3대 분야다.

인공지능(AI), 첨단 바이오, 양자 등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서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혁신적 게임체인저 기술에 집중 투자하고 공공기술 사업화, 기업 R&D 등 민·관 협업을 통한 스케일업 투자도 강화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배터리), 모빌리티, 차세대통신 등 주력산업 분야의 차세대 전략기술 투자를 강화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안도 마련됐다.

아울러 최고급 과학기술 인재 육성과 해외 인재 유치·교류를 지원해 새로운 도전을 이어갈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과 유입을 촉진하고 에너지 신산업 성장동력화와 에너지 다소비 산업의 고효율·저소비화 및 기후변화 적응 기술에도 투자한다.

정부의 R&D 투자가 성과 창출로 이어져 민간의 투자를 촉진할 수 있도록 선도형 R&D 투자시스템으로 고도화한다.

정부 연구개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사업평가 결과를 예산에 철저하게 환류하고 R&D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분야별 전략 단계별 로드맵 등을 근거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기존 사업을 분석하고 조정하는 내용도 담겼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최근 중국 딥시크 충격, 미국 반도체 관세 예고 등 기술 패권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으로 기술 혁신과 도전없이는 새로운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중대 전환점에 서 있다”며 “어느 때보다 치열한 기술경쟁에 직면해 있지만 우리나라도 충분히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