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블 맨’ 기반 4개 서비스 시나리오 발표
산업계·정부·학계·민간단체 전문가와 구체적 추진방안 논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초공간 네트워크 분야 국가전략프로젝트 ‘에이블 맨’ 전략발표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10월 진행한 ICT 기술·정책 토론회의 후속으로 진행된 이발 전략발표회에서 ETRI는 새롭게 발굴한 서비스 시나리오와 시장 니즈에 대한 전문가 평가, 생태계 협력 주체별 기술개발 역할 등을 제시했다.
에이블 맨은 6G와 우주통신 시대를 대비해 이동통신 공간 확장을 위한 위성통신 핵심기술(다이렉트 셀룰러, 위성 엣지컴퓨팅, 3D 오픈랜, 지능형 협력 네트워킹 등) 확보해 2035년 약 116조원으로 확장이 예상되는 저궤도 위성통신 글로벌 장비 시장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이블 맨의 목표 시장 정의와 획정, 시장 규모 추정, 필요 기술 도메인, R&D 추진체계 등에 대해 논의한 지난해 토론회에 이어 이번 전략발표회에서는 에이블 맨 기반의 서비스 시나리오, 시장 수용성, 추진 프로젝트의 비용/편익 분석, 생태계 내 역할 정의 등 다루면서 국가전략프로젝트의 추진 타당성을 검토했다.
특히 ▲국방 분야 ‘극초음속 미사일 방어체계’ ▲제조·물류 분야 ‘글로벌 공급망 최적화’ ▲모빌리티 분야 ‘커넥티드UAM 자율비행 관제’ ▲통신·센싱 융합 분야 ‘초광역 실시간 경보체계’ 등 에이블 맨을 활용한 4개 시나리오에 따라 각 분야의 시장 니즈와 적용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ETRI에 따르면, 시장 니즈에 대한 전문가 평가 결과, 해당 서비스들은 시장 수용·착근 가능성, 시장 성장 가능성, 투자 대비 경제적 효익, 공공·사회적 편익 등 전 부문에서 평균 이상의 평가를 받아 정부의 투자 타당성을 뒷받침했다.
산업계 역시 에이블 맨 핵심기술 개발에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밝혔다.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한국항공우주산업, KT SAT 등 주요 기업이 서비스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방향을 제안했다.
6G 포럼과 위성통신포럼은 협력주체별 역할 분담을, 국회 예산정책처와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에서는 정부정책 부합성과 공공투자 적합성을 제언했다.
ETRI와 국방과학연구소(ADD) 등 출연(연) 역시 민·관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국가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출연(연)의 역할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국가전략프로젝트 에이블 맨의 투자 타당성 연구를 총괄하는 ETRI ICT전략연구소 한성수 소장은 “에이블 맨은 국가임무 관점에서 미래성장을 견인할 대형 과제로 출연(연)을 비롯한 협력주체들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책임감 있게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서비스 시나리오와 시장 니즈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생태계 참여자들과 긴밀히 협력해 성공적인 산업화를 통해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연(연) 연구개발 실행책임자인 백용순 ETRI 입체통신연구소장은 “국내 민·군 협력을 통해 에이블 맨 시스템을 구현하고, 글로벌 협력을 통해 위성통신 장비 시장을 선점하려면 무엇보다 핵심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며 “이번 전략발표회에서 나온 기술·산업·정책적 의견을 기반으로 협력 주체들과 함께 기술개발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ETRI는 지난해 10월 토론회와 이번 전략발표회 의견을 반영해 올해부터 에이블 맨 국가전략프로젝트에 대한 상세 기술기획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ETRI, 초실감 정책토론회서 공간결합 기술 생태계 활성화 제안
- 위성통신 환경 단점 극복…KT, 5G NTN 기술시연 성공
- 과기정통부,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본격화
- ETRI, 오픈랜 기반 NTN 기술 국제표준 주도
- KT·LIG넥스원, 민·군 겸용 저궤도 통신위성 기술 개발 ‘맞손’
- 과기정통부, 올해 R&D사업에 6조3000억원 투입
- ETRI, “임무·수요 중심의 R&D 혁신 추진할 것”
- 중기부, 내년 中企 기술개발에 1조5214억원 투입
- SKT ‘저궤도위성 기반 재난통신’ 기술, 전파방송기술대상 장관상 수상
- 무궁화위성 6A호 발사 성공…KT SAT “관제 전문성 기반 안정 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