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지상 네트워크 간 통합 기술 개발 추진
국내 연구진이 유럽우주국(ESA)과 6G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MWC 전시장 내 GSMA 부스에서 ESA측과 6G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상호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ETRI가 ESA측과 협력하기로 한 분야는 6G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중 비지상망(NTN) 기술 연구 및 국제 표준화 부문이다.
후 위성과 지상 6G 네트워크 간 통합 기술개발 및 간섭 완화전략 등 상호 관심 사항에 관해 공동 협력을 추진한다.
6G NTN 기술은 기존 지상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다. 이 기술이 도입되면 오지, 해양, 항공과 같이 기존 네트워크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원활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6G 시대에는 위성과 지상망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돼 NTN 기술이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양 기관은 3GPP 표준 기반 5G/6G NTN 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ITU-R 및 3GPP 등 국제표준화단체에서 기술표준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위성과 지상 6G 네트워크 간 원활한 통합을 위해 지상 및 위성 네트워크의 유기적 연계를 위한 기술 개발을 양 기관이 함께 진행하고 NTN 기반 서비스의 상용화 촉진을 위한 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 위성과 지상 네트워크 간 주파수 간섭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도 진행한다.
ETRI 방승찬 원장은 “6G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협력을 위한 협력은 6G 비지상 네트워크(NTN) 발전, 글로벌 협력 강화, 미래 통신 기술을 주도하는 의미있는 파트너십의 시작이다. ESA와의 협력이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교두보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로랑 자파르트 ESA 연결 및 보완 통신 책임자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ESA와 ETRI가 5G/6G 비지상 네트워크 분야에서 협력하고 전문 지식을 교환하게 돼 기쁘다. 이는 두 지역 간 기술 진보의 촉매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ETRI는 이번 협약을 통해 ESA의 우주기술 전문성과 연구원의 통신 혁신 역량을 결합한다는 방침이다. 6G NTN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위성과 지상망 간의 상호 운용성을 강화, 글로벌 연결성을 더 발전시켜 나가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ETRI, 초공간 네트워크 국가전략프로젝트 전략발표회 개최
- 위성통신 환경 단점 극복…KT, 5G NTN 기술시연 성공
- ETRI, 오픈랜 기반 NTN 기술 국제표준 주도
- KT·LIG넥스원, 민·군 겸용 저궤도 통신위성 기술 개발 ‘맞손’
- 과기정통부, 올해 R&D사업에 6조3000억원 투입
- SKT ‘저궤도위성 기반 재난통신’ 기술, 전파방송기술대상 장관상 수상
- SKT 컨소시엄, 위성 탑재 QKD 시스템 개발 착수
- 과기정통부, 국가개발연구사업 평가 완료…저궤도6G·무기발광DP 예타 통과
- 6G 등 미래 주파수 확보 준비…과기정통부, WRC-27 준비단 발족
- 디지털 기술로 상수도 관망관리 혁신…ETRI, 디지털 관제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