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K-디지털 수출개척단’ 활동의 일환으로 송장비 전시회인 2025 국제방송장비전시회(NAB Show)에 참가해 국내 기업의 혁신적인 방송‧미디어 기술을 세계 시장에 소개하고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1923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국제방송장비전시회는 방송 시장의 새로운 기술 흐름과 최첨단 산업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세계 최대 방송장비 전시회로 꼽힌다.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미국 방송사협회와 함께 ‘한국 방송기술 테마관’을 운영해 왔으며, 국내 기업들의 우수한 방송 장비·솔루션을 세계 시장에 선보이고 해외 진출을 위한 홍보의 장으로 적극 활용해왔다.
이번 테마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방송사, 방송매체기업 등 35개 기업‧기관이 참여해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차세대 방송매체 기술과 함께 모빌리티 등 미래 환경에 대비한 새로운 서비스 온라인 플랫폼을 중점 홍보할 계획이다.
단순 전시 차원을 넘어 기업들의 사업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미 방송사협회와 함께 해외기자단 등을 초청해 국내 방송기술의 우수성을 소개하는 설명회도 가질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전파진흥협회와 함께 이번 전시회에서 미국 방송사협회(NAB), 미국 텔레비전 방송표준기구 (ATSC), 브라질 등과 세계 시장 공동 협력 수요 발굴 및 시장 현황을 공유하는 등 우리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협력 방안도 논의한다.
김남철 전파정책국장은 “수출 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 경쟁력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의 홍보 활동도 중요하기 때문에 수요기업이 모이는 이번 전시회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내 중소기업이 해외 진출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고 국제 협력과 혁신 방송기술 홍보 등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제2회 미래국방 전략포럼…양자 기술 활용안 논의
- 지능정보화 기본법 개정안 27일 시행…키오스크 이용 개선된다
- AI 3대 강국 도약…과기정통부, AI 글로벌 컨퍼런스 성료
- 3GPP 기술총회 성료, 한국 의장단 진출 성과
- 정부, 지역 과학기술 혁신에 6조6000억원 투자한다
- 과기정통부,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 온라인 플랫폼 선도’ 사업 공고
- LGU+, “국제 스포츠 대회 중계 회선 단독 제공한다”
- 과기정통부, “올해 공공 SW·ICT장비 총 사업금액 조사값 6조2000억원”
- ETRI 김승환·임채덕 박사 과학기술훈장 수상
- 1조7000억원 규모 ‘ATSC 3.0 기술’ 시장…“선재적 상용화에 속도 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