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보고서, “한한령 완화 기조, 비즈니스 기회 확보해야”
국내 게임 산업이 인공지능(AI) 기술 확산, 게임 제작 구조의 혁신, Z세대 중심의 게임 이용 행태 변화 등 전반적인 도약기를 맞이한 현재 주목해야 할 10대 핵심 트렌드가 제시됐다.
삼정KPMG는 보고서(게임 산업 10대 트렌드로 본 혁신과 변화)를 통해 게임 제작 환경, 콘텐츠 범주의 확대, 게임 이용자 변화, 글로벌 시장 기회의 4개 축을 중심으로 주요 산업 변화를 진단하고 향후 국내 게임 산업의 발전 방향을 조망했다.
보고서는 게임 산업의 10대 트렌드로 ▲AI 기반 게임 제작 확산에 따른 기회와 과제 ▲멀티 스튜디오 전략 확대 ▲인게임 광고 기반 수익 모델 변화 ▲게임 산업 인수합병(M&A) 회복세 ▲지식재산권(IP) 연계 확장 전략 ▲게임 장르의 다양화 ▲게임 유저 영향력 확대 ▲Z세대와 인디·커뮤니티 플레이 ▲중국 시장 기회 확대 ▲이머징 시장 진출 가속화를 선정했다.
글로벌 빅테크 및 게임 엔진 기업은 물론 국내 주요 게임사들도 생성AI를 게임 제작과 운영 전반에 적극 도입하고 있다. 이는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저작권·윤리 문제와 고용 대체 우려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특히 2026년 국내 AI기본법 시행 등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기술 개발과 함께 규제 대응 전략 수립이 중요해지고 있다.
대형 게임사를 중심으로 기업 산하 개별 스튜디오가 독립적으로 제작과 운영을 수행하는 체제가 확산되고 있다. 멀티 스튜디오 전략은 장르 다양화와 개발 인력의 창의성 증진에 기여하며, 창작자 중심의 조직문화와 빠른 의사결정 구조를 정착시키고 있다.
확률형 아이템 규제도 본격화되며 새로운 수익 모델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인게임 광고는 게임 플레이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하며 수익 다변화 전략의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2021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글로벌 게임 산업의 인수합병(M&A)은 2024년부터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국내에서는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등이 개발 스튜디오 인수·투자를 통해 역량 강화에 나섰으며 기술력 확보형 M&A와 인기 IP 기반 투자형 M&A도 병행되고 있다.
웹툰·영상 등 인기 비게임 IP와 검증된 게임 IP를 활용한 신작 개발도 활발하다. 국내 게임사는 유관 산업과의 제휴 확대 및 대형 콘텐츠 기업 인수를 통해 IP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 중이다.
한편 Z세대가 신규 게임 이용자층으로 부상함에 따라 다중사용자 온라인 전투 아레나(MOBA) 게임, 시뮬레이션, 소셜카지노 등 다양한 장르가 주목받고 있다. 국내 게임업계도 이에 발맞춘 콘텐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영상 플랫폼을 통한 게임 플레이 및 리뷰 콘텐츠 확산이 신규 유저 유입으로 이어지면서 게임 내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의 영향력도 확대되고 있다.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 등 유저 참여형 게임의 인기 또한 함께 높아지며 주요 게임사들도 유저 기반 창작 생태계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Z세대의 독창적인 콘텐츠 선호로 인디게임의 인기가 확산되고 있다. 디스코드 등 커뮤니티 플랫폼을 중심으로 공유·참여 기반의 플레이 문화가 형성되고 있으며 게임사들도 기획·개발부터 출시 후 서비스까지 전 주기에 걸쳐 커뮤니티 중심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한한령 완화 흐름 속에서 국내 게임사는 세계 2위 규모인 중국 시장 재진입을 통해 매출 확대, 글로벌 IP 가치 제고, 투자·협력 기회 확보 등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중국의 게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국 중심 지원 및 규제가 지속되고 있어 국내 기업의 전략적 대응이 요구된다.
중국 수출 의존도가 낮아지는 가운데 브라질·인도·사우디아라비아 등 이머징 시장에서 한국 게임의 이용률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동은 높은 소비 여력과 사우디 중심의 대규모 투자로 시장 잠재력이 주목받고 있으며, 위메이드·넥슨·엔씨소프트·크래프톤 등 주요 게임사들이 이머징 시장에서 성과를 내며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삼정KPMG 안창범 전무는 “AI, 멀티 스튜디오 등 게임 제작 환경의 기술적·전략적 전환은 한국 게임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며 “특히 콘텐츠 범주 확대와 IP 기반 협업, 다양한 장르 대응 전략은 변화하는 이용자층에 적합한 콘텐츠 경쟁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Z세대를 중심으로 한 게임 이용 방식의 변화에 대응해, 게임사는 유저 창작 생태계 강화 및 경험 중심의 UX 설계 전략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으며, 글로벌 측면에서는 중국과 인도 및 이머징 시장 공략을 위한 현지화 및 유통 전략 정비에 주안점을 둬야 한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 ‘무조건 당첨’ 광고한 게임 아이템, 실제 확률은 ‘9%’…공정위 제재
- 카카오 준신위, 협약 계열사 대상 준법시스템 평가
- 엔씨AI 이연수 “게임 산업계서 AI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
- 라인스튜디오, 앵커노드와 게임 개발 AI솔루션 공동 개발
- 경제 질서의 지각 변동…“공급망·규제·기술 등 전방위 재정비해야”
- “에너지 전환·AI기술 확산…전력 인프라 업계는 기회 삼아야”
- 성장세 탄 XR 산업계…고객경험 개선 위한 전략·로드맵 수립할 때
- 미래 금융 산업 트렌드는 ‘연결성’·‘토큰화’·‘사이버보안’
- 지난해 4분기 글로벌 VC 투자 1,086억 달러…AI 관련 기업에 집중
- 올해 CES에서 주목할 키워드는 ‘S·N·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