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여파로 대미·대중 수출 감소
지난달 수출이 전년보다 4.3% 늘어나면서 한 달 만에 증가세를 회복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영향에도 주력 상품인 반도체가 사상 최대 수출을 기록했고, 자동차 수출도 6월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같은 내용의 6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6월 수출액은 598억달러로 전년동월 대비 4.3% 증가했다.
월간 수출은 2023년 10월부터 15개월 연속으로 전년동월 대비 증가한 후 올해 1월 감소로 전환했다. 이후 3개월 연속 증가 뒤 지난 5월 감소로 전환됐으나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를 회복한 것이다.
최대 수출품 반도체의 6월 수출은 149억7000만달러로 전년동월보다 11.6% 늘면서 사상 최대 실적 기록했다.
월간 반도체 수출액은 지난 2월 소폭 감소(-3%)했지만 3월부터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제품의 수요가 늘고 고정가격 상승 흐름으로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자동차 수출은 63억달러로 2.3% 증가했다. 이는 6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자동차 수출은 미국 관세 영향 대미 수출은 줄었으나 유럽연합(EU) 등으로의 수출이 늘었고, 중고차 수출도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다.
주요 국가별 수출을 살펴보면, 미국 관세의 직접 영향을 받는 대미 수출은 112억4000만달러로 0.5% 줄었고 대중 수출도 104억2000만달러로 2.7% 감소했다.
6월 수입액은 507억2000만달러로 전년동월보다 3.3% 증가했다. 6월 무역수지는 90억8000만달러 흑자로 2018년 9월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 ‘대중 수출통제’ 악재에도…엔비디아, 역사적 신고가로 시총 1위 탈환
- 전력망 정보 실시간 통합관제…산업부, AI 기반 지능형 전력망 구축
- 규제샌드박스 승인기업 투자유치 나선다
- 산업부, ‘지역경제·AI·수출’ 3대 분야 4,956억원 추경안
- 국내 기업 10곳 중 5곳은 “韓·日 간 경제협력 긍정적”
- 과기정통부, AX 디바이스 개발·실증사업 과제 공고
- 중기부, 중동 분쟁 관련 ‘中企 피해 대응 TF’ 회의…대응 방안 논의
- 국내 기업 10곳 중 4곳은 AI기술 도입…‘생산성’ 높이고 ‘비용’ 줄이고
- 반도체 최고액 수출에도 5월 수출 1%대 감소
- 국내 대기업 10곳 중 8곳…“하반기 투자 상반기 수준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