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KT, 교보교육재단과 31일 세종대학교에서 청소년 대상 인공지능(AI)·디지털윤리 토론 캠프 ‘AI윤리 ON!’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AI윤리 ON! 캠프는 NIA가 주도해 개발한 디지털윤리 교육 콘텐츠를 기반으로 교보교육재단의 청소년 토론 프로그램과 KT의 대학생 IT서포터즈(KIT)의 멘토링을 결합한 민·관 협력 프로그램이다.
이날 열린 캠프는 청소년들이 AI와 디지털 기술의 윤리적 쟁점을 주도적으로 탐구하고 또래와의 토론을 통해 비판적 사고와 AI·디지털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돕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는 참여형 토론 방식을 도입해 청소년들이 스스로 윤리적 관점을 형성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오전 세션에는 토론에 앞서 기초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KT에서 디지털 시민 교육을 진행했다. AI와 디지털 기술에 대한 개념 이해를 돕는 강의와 주요 윤리 이슈를 탐색하는 실습 활동으로 구성돼 청소년들이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윤리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했다.
KIT 대학생 멘토들이 강사로 참여해 알고리즘 원리, 데이터 편향, 개인정보 보호 등의 주제를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설명하고 질의응답과 활동 중심 교육을 통해 학습 효과를 높였다.
오후에는 딥페이크와 같은 생성AI 기술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 중심의 교육으로 진행됐다.
특히 딥페이크의 개념과 활용사례, 관련 법·제도, 범죄 예방 및 대응 방안을 학습하고 조별 토론을 통해 생각과 의견을 나누며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적책임과 윤리적 가치에 대해 논의했다.
NIA 황종성 원장은 “청소년들이 AI를 단순히 소비하는 것보다는 그 사회적 의미와 윤리적 함의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청소년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AI·디지털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NIA, ‘2025 지능정보사회 법제도 포럼’ 공개 세미나 성료
- 가명정보 활용 활성화…민·관 머리 맞댄다
- 전기·수도·가스 통합 원격검침으로 편리하게…실증 서비스 시작
- NIA, ‘SOC사업 지능정보화계획 수립 의무화 제도’ 설명회
- LGU+, AI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 획득…리스크 관리 체계 수립
- “인공지능(AI), 기업 디지털 전략 핵심으로 확고한 자리매김”
- 카카오, UN 포럼서 AI-이용자 상호작용 윤리 발표
- NIA, 경북대와 AI윤리·지식재산권 세미나 개최
- 19개 기관·기업 참여 ‘디지털 ESG 협의체’ 출범
- “오바마는 무슬림”…구글, ‘AI오버뷰’ 오류로 망신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