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AI 기반 유해 사이트·영상물 수집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유해사이트를 차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시험 적용에 들어간다고 9일 밝혔다. 2019년 웹하드에서의 불법 촬영물 삭제 지원을 위해 개발한 이 기술은 올해 인터넷 사이트로 확장해 이달부터 지원업무에 시험 적용을 시작한다.
인터넷 사이트를 자동으로 검색해 웹 페이지 음란성 여부를 판단하는 AI기술이 핵심으로, AI가 등록된 키워드로 웹페이지들을 검색하고 웹페이지 내 게시물(텍스트, 이미지 등)을 분석해 유해성을 검출한다.
영상 콘텐츠의 경우, 프레임당 약 100만회의 세부판단이 가능해 정교한 영상 비교·탐지가 가능하다.
탐지효율도 한층 개선돼 신속한 피해자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TRI에 따르면, 개발된 AI 엔진은 99.4% 이상의 정확도로 콘텐츠 유해성을 판단하면서 검출속도는 0.01초 마만으로 낮췄다.
ETRI 연구진은 지난 6월부터 2달간 진행된 시험기간에 피해영상물의 검색 키워드, 썸네일 이미지, 주소(URL) 등을 활용, 총 18,945건의 웹사이트를 자동 수집했으며 이 중 유해 사이트로 판별된 2,631개 웹사이트를 걸러내는 데 성공했다.
ETRI 이남경 미디어지능화연구실장은 “이번 인공지능 기술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업무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도 불법 촬영물의 유포·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애플, 구글, 페이스북…아동·청소년 보호조치 강화하는 빅테크 기업들
- 애플, 아동 성학대 이미지 퇴치…음란물 사진 감시·통보 기능 추가
- 인터넷 비즈니스 근간 흔드는 ‘가짜들’…가짜리뷰, 음해성 글 넘친다
- “인공지능(AI)으로 가짜뉴스(Fake News)도 잡는다”
- ”일반인도 쉽게 딥페이크 탐지 가능…모바일 앱(App) 나왔다“
- 셀리코, ETRI ‘초음파 무선충전’ 기술이전 완료
- 정부, 인터넷사업자 대상 디지털성범죄물 필터링 기술·DB 지원 확대
- 울산시·ETRI, 미래차 핵심부품 개발 지원 협력…MOU 체결
- ETRI, 전해질 제거한 전고체 배터리 양극 기술 개발
- 최근 4년간 전문직 성범죄자 직업 1위는 ‘의사’…602명 입건
오현식 기자
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