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이패스가 유럽 글로벌 기업의 최고정보책임자(CIO)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완전히 자동화된 기업으로의 여정’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다수 기업이 팬데믹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로보틱프로세스자동화(RPA), 인공지능(AI), 로우코드/노코드(low-code/no-code) 툴 기반의 자동화 도입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대수 기업은 팬데믹으로 인한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기업 CIO의 29%는 ‘레거시 시스템을 최신 솔루션으로 교체하기 위해’, 26%는 ‘조직 내의 전체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재설계하기 위해’, 24%는 조직 내의 반복적인 업무를 제거하기 위해 자동화를 도입했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향후 5년 동안 지능형 자동화가 디지털혁신(DT) 선도기업을 만드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다수의 기업은 DT의 수단으로 현재 소프트웨어 로봇을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조사결과 기업은 부가가치가 낮고 반복적인 작업을 제거하고 핵심업무를 지원, 온라인 채널과 관련 제품 및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소비자-비즈니스 고객간 관계를 강화를 위해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다수 CIO들은 자동화 혁신기업이 되기 위해 조직 전체가 참여하는 파일럿 과제를 통해 RPA, AI 및 프로세스마이닝의 가치를 평가하고 RPA를 확장할 수 있는 적절한 플랫폼을 검토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자동화가 가져올 기회와 이점에 대해 경영진에게 알리고 효과적인 로드맵을 구상하고 동의를 얻어야 하며, 각 사업부와의 협업으로 지능형 자동화를 위한 로우코드/노코드 플랫폼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아이패스코리아 박혜경 대표는 “대다수 CIO들이 비즈니스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엔터프라이즈 구현을 위해 노력해 온 가운데 자동화는 DT의 주요한 아젠다로 자리하고 있다”며 “완전히 자동화된 기업이 치열한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디지털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2년 이어진 팬데믹으로 가능성 봤다”
- 디지포머싸스랩, 이달 30일 노코드 플랫폼 WEM 활용 웨비나
- 써로마인드, ML옵스(ML-Ops) 개발환경 ‘AI스튜디오’ 정식 공개
- 넥스엔정보기술, 빅데이터 플랫폼 ‘알테릭스’ 무료 교육세션 진행
- 코어에이아이, UAE ‘마쉬레크뱅크’에 AI기반 가상비서 솔루션 공급
- 유아이패스, AI 기능 강화 ‘유아이패스 플랫폼 21.4’ 업데이트
- 英 RPA기업 블루프리즘, 한국지사 설립…금융·엔터프라이즈 시장 공략
- 퀸텟시스템즈 ‘CALS 세일즈 클라우드’, AWS 마켓플레이스 입점
- LGU+, 카카오엔터와 SMB 시장 공략 ‘맞손’…솔루션간 연동 추진
- 디모아·나인폴더스, 익스체인지 기반 협업 플랫폼 구축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