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두께 줄이고 가격경쟁력 확보,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
LG이노텍이 플라스틱을 사용해 크기는 줄이고 가격경쟁력을 높인 ‘고성능 자율주행용 하이브리드 렌즈’ 2종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자율주행용 카메라 렌즈는 주행보조시스템, 운전자의 움직임 인식을 위한 자율주행 솔루션의 핵심부품이다.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에 따르면 글로벌 자율주행용 카메라 시장은 2021년 4조2000억원에서 2025년 7조9000억원으로 연평균 17%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LG이노텍이 이번에 개발한 고성능 하이브리드 렌즈는 운전자모니터링시스템(DMS)용과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용 2종이다.
그간 유리로 제작됐던 기존 자율주행용 렌즈와 달리 렌즈 내부에 얇은 플라스틱과 유리를 교차 적용해 성능을 더 높인 것이 특징이다. ADAS용 카메라 렌즈에 플라스틱을 적용해 고성능을 구현한 것은 LG이노텍이 최초다.
유리로만 된 제품보다 두께는 약 20∼30% 줄었고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성능을 유지하며 물체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유리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을 사용해 가격 경쟁력도 높였다고 LG이노텍은 설명했다.
LG이노텍은 이번에 개발한 렌즈 2종을 앞세워 글로벌 차량용 카메라 모듈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국내는 물론 미국, 유럽, 일본지역 고객사를 대상 프로모션도 진행 중이다. 글로벌 완성차OEM, 전장부품 기업들도 자율주행 기능을 확대하는 추세로 DMS, ADAS 솔루션 관련 부품 도입에 적극적이다. 유럽연합(EU)은 2025년 이후 모든 차량에 대해 DMS를 장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LG이노텍은 현재 DMS용 렌즈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양산을 앞두고 있으며 ADAS용 렌즈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도 개발을 마무리하고 내년께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LG이노텍 강민석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설계와 검증이 까다로운 렌즈 개발을 단기간에 성공한 점은 고객경험 혁신을 위한 큰 성과”라며 “플라스틱이 지닌 한계를 기술로 극복해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최대 105도에서 동작가능…유블럭스, ADAS에 최적화 GNSS 모듈 공개
- 美 ADAS 보급률 70% 돌파…기술 레벨2 차량 절반 육박
- 자동차 SW 개발표준 ASPICE 컨퍼런스, 내달 제주서 열린다
- 삼성, 美 실리콘밸리서 테크데이…“SoC, DDI 등 시스템반도체 IP 고도화”
- 인텔 자율주행 자회사 ‘모빌아이’, 기업공개(IPO) 추진
- LG, 차량용 네트워크액세스디바이스(NAD) 모듈시장서 선두 맹추격
- 스마트폰에서 자율차·메타버스로 확장…산업의 ‘눈’, 카메라 모듈시장 뜬다
- 특허청, 포스코와 철강·소재기업 기술보호 공동 지원 ‘맞손’
- LG이노텍, 중희토류 60% 절감한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 개발
- 현대모비스, 이스라엘 ‘오토피아’와 원격지원(RMA) 솔루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