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화로 자산관리·보안강화 지원
2월 중순까지 CBT 고객 대상 무료 프로모션 진행
네이버클라우드는 클라우드 보안 형상 관리 서비스(CSPM)인 ‘클라우드 시큐리티 워처’를 출시했다. CSPM을 선보인 것은 국내 CSP 중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가 처음이다.
CSPM은 클라우드 자원에 대한 보안설정, 컴플라이언스 준수여부, 자산 가시성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서비스로 이를 통해 클라우드의 자산 관리와 보안 강화를 지원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에 선보인 클라우드 시큐리티 워처는 클라우드로의 전환에 따라 레거시 환경과 다른 영역의 보안에 어려움을 서비스형 보안(SECaaS)으로 보완할 수 있게 지원한다고 소개했다.
클라우드 시각화와 컴플라이언스 관리, 자산 식별·변경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시큐리티 워처는 데이터의 정밀한 수집·분석을 통해 리소스 현황을 시각화함으로써 보안 위협의 빠른 탐지·조치를 지원한다.
고객은 멀티클라우드 또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선택해 해당 클라우드에 모든 정보를 한 화면에서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준수해야 할 규제 충족 여부를 파악하고 보완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또 자산, 계정, 방화벽 변경 관련 특이사항을 식별하고 변경 타당성을 검토해 필요시 조치 관리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우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잘못된 구성 변경을 예방하고, 계정 탈취를 사전 식별해 단시간 내에 수많은 VM이 추가 생성되거나 운영중인 VM이 삭제되지 않도록 대응할 수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김동운 클라우드 보안 리더는 “최근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를 비즈니스에 적극 활용하는 상황에서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보안 설정이 필요하지만, 클라우드 보안 전문가를 영입하고, 모든 보안 규제를 이해해 보안을 완벽히 설정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며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 출시를 통해 고객의 통합 보안 관리를 밀착 지원하며 클라우드 보안 파수꾼 역할을 하겠다”라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내년 2월 중순까지 기존 기업 고객 대상으로 클라우드 시큐리티 워처를 무료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관련기사
- “랜섬웨어 범죄의 변화, 새로운 대응 프로세스 필요”
- “2023년 아태지역 사이버보안 위협 증가할 듯”
- 네이버, 실시간 음란물 필터링 기술 오픈API로 공개
- 네이버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반으로 팀 네이버 시너지 본격화”
- 네이버클라우드, 신용정보 결합한 데이터 서비스 출시
- 애플, “연락처 키로 피싱 공격 방어”…애플ID 인증 강화
- 네이버웍스, CSAP 인증 획득…공공 협업툴 시장 공략
- 트렌드마이크로, 보호 배포 모델 ‘클라우드 센트리’ 공개
- 삼성, 클라우드 보안 국제표준 인증 2종 획득
- 태니엄, 보안·운영 메트릭 추적 툴 ‘태니엄 벤치마크’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