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에 대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체계를 구축하고 제3자 검증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전과정평가는 원료의 채취와 가공, 제품의 제조-운송-사용-폐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 투입되는 물질과 에너지, 배출되는 폐기물 등을 정량화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산출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이 중 반도체 제조사가 통제가능한 범위인 원재료 수급 단계부터 제품의 생산-패키징-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국제표준에 의거해 전과정평가 체계를 완성했고, 글로벌 에너지·환경 전문 인증기관인 DNV의 검증도 마쳤다고 전했다.
탄소배출량 수치는 반도체와 반도체가 사용되는 제품·시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며, 저탄소 반도체 개발을 앞당기고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어 중요하다.
삼성전자는 향후 한국·미국·중국 소재 글로벌 반도체 생산과 패키징 라인에서 만들어지는 전 제품을 대상으로 전과정평가를 운영하고, 반도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탄소배출은 물론 물과 자원 등으로 확대해 종합적인 관리 체계를 수립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EHS 센터장 송두근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2019년부터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 주요 제품을 중심으로 탄소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활동을 강화해왔다”며 “향후 전과정평가 체계를 기반으로 반도체 관련 환경 정보 공개에 투명성을 높이고 고객사들이 탄소중립을 달성하는데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DNV 비즈니스 어슈어런스 코리아 이장섭 대표는 “삼성전자가 신뢰성 있는 전과정평가 체계를 구축하게 된 것을 축하한다”며 “DNV는 에너지·환경 분야 전문가로서 글로벌 선두 업체들이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드는데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단독] 팹리스 1세대 넥스트칩, 日 상용차 ‘히노(HINO)’에 아파치5 공급한다
- 온세미, 폭스바겐에 전기차(EV)용 인버터 모듈 공급계약 체결
- SK하이닉스, 초고속·초저전력 모바일용 D램 ‘LPDDR5T’ 샘플 공급 개시
- 지멘스EDA, 팹리스 스타트업 치플레츠에 EDA 툴 공급
- “韓 반도체 기업 효율성, 100대 반도체 기업 평균치보다 낮다”
- “美는 경제안보 강화, 中은 정권안정 집중”…올해 美·中 간 전략경쟁 심화
- 산업부, 산업기술혁신사업 시행계획 공고…5조6000억 규모 R&D 지원
- 지난해 무역수지 적자 472억 달러…2008년 금융위기 후 14년 만
- 삼성, 美 실리콘밸리서 테크데이…“SoC, DDI 등 시스템반도체 IP 고도화”
- 삼성, ‘ISE 2023’서 친환경 디지털 사이니지 신제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