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데이터 기반 기술·산업·경제 전략 수립
특허 정보 관리·활용 플랫폼 개발 추진

김완기 특허청장이 ‘산업재산 정보 활용 기본계획 수립 추진단’ 출범식에서 개회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특허청]
김완기 특허청장이 ‘산업재산 정보 활용 기본계획 수립 추진단’ 출범식에서 개회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특허청]

전세계 5억8000만여건에 달하는 산업재산 빅데이터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효율적인 연구개발(R&D) 및 산업·안보국정 운영과 국가 안보기술 유출 방지를 지원하기 위한 범국가적인 정책이 수립된다.

특허청은 27일 오후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산업재산 정보 활용 기본계획 수립 추진단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출범한 추진단은 ’산업재산 정보의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정에 따라 산업재산 정보 활용 기본계획에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구성됐다.

서울대학교 정상조 교수를 단장으로 산업계와 학계·연구계, 공공·관리 등 30여명의 위원이 ▲경제안보 ▲산업혁신 ▲인프라 등 3개 분과에서 활동하게 된다.

올해 첫 수립되는 이번 기본계획은 안보 기술의 유출 방지를 위한 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특허데이터 기반 기술·산업·경제 관련 전략 수립, 특허 정보의 관리 및 활용 플랫폼 개발 등을 핵심주제로 다룰 예정이다.

정상조 추진단장은 “특허데이터는 기술 발전을 가속화하며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자산”이라며 “전략적 활용을 통해 가치를 극대화하고 사회의 혁신과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기본계획은 특허데이터 기반 산업·기술 모델의 확산, 기술의 유출 방지 및 보호를 위한 기관 간 협력 등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면서, “각계 전문가 위원들의 정책 제언과 심도있는 논의를 통해 실효성 있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