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기아, 현대차, 테슬라코리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한국토요타자동차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32개 차종 43만534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를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기아의 K5 등 2개 차종 21만283대는 전자제어유압장치(HECU) 내구성 부족에 따라 이달 22일 리콜을 시작했다. 니로EV 1,986대는 고전압배터리 전원차단장치 제조 불량이 발견돼 24일부터 시정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차 투싼 등 3개 차종 17만8489대 또한 HECU 내구성 부족으로 이달 30일부터 리콜에 들어간다. 제네시스 GV80 등 2개 차종 3,142대는 전동 사이드스텝 설계 오류로 연료탱크가 손상될 가능성이 발견되면서 31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테슬라코리아의 모델Y 2만2072대는 등화장치 설치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아 26일부터 리콜을 시작한다.
아우디 A3 40 TFSI를 비롯한 폭스바겐그룹코리아 5개 차종 5,341대는 연료펌프 제조 불량으로 화재가 날 가능성이 지적돼 26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이트론(e-tron) 55 콰트로 833대는 고전압 배터리 모듈 제조 불량으로 화재가 날 수 있어 24일부터 시정조치가 진행 중이다.
한국토요타자동차의 렉서스 ES300h 등 13개 차종 5,559대는 전·후방 카메라 용접 불량으로, NX350h 등 4개 차종 2천829대는 전방 인식 카메라 소프트웨어(SW) 오류로 25일부터 리콜된다.
차량의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에서 차량번호·차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 급발진 의심 車제조사, 자료 미제출시 ‘결함’ 추정
- “위성정보 공유로 재난·긴급상황 대응”…국토부·해경청 MOU 체결
- 국토부, 장거리·광역노선 자율주행 화물운송 본격 추진
- [그것을 알려주마]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 가로막는 여러 이슈들
- 인공지능(AI) 시대에 확산되는 개인정보 오남용…“방지책 마련해야”
- “미래 스마트카 경험 엿본다”…LG전자, 모빌리티 기술 콘셉트 공개
- 지난해 반도체 장비 매출액 사상 최대…“유럽 전년비 93% 늘었다”
- 경기혁신센터, ‘INNOX 오픈이노베이션 2기’ 참가기업 모집
- SEMI, “지난해 실리콘웨이퍼 출하량 사상 최고 기록”
- 인피니언, 전장 MCU 오릭스 TC4x 제품군에 TSMC ‘R램’ 기술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