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디지털 활용 역량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디지털 포용 가치를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2024 국민행복 정보기술(IT)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22주년을 맞은 이번 대회는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NIA)원과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가 주관하는 행사로 10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렸다.
이 대회는 장애인·고령층·다문화가족 등 디지털 이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사회 구성원이 참가해 디지털 기기·서비스의 활용 역량을 겨룬다.
지난 7월 전국 17개 광역 시도의 거점시험장에서 열린 예선 대회에는 총 1,138명이 참가했으며, 그 중 257명이 이날 개최된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 대회는 ‘디지털 문제해결’, ‘디지털 생활하기’, ‘디지털 사회참여’ 등 3개 주제로 개최됐으며 참가자들은 PC와 모바일 기기 등을 활용해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검색, 금융·쇼핑·교통 등 실생활 디지털 서비스 이용, 문서작성 등 다양한 시험유형에 응시해 디지털 활용 역량을 겨뤘다.
이번 본선 대회장에서는 실생활 디지털 서비스 학습용 에뮬레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정서·신체·인지 돌봄로봇, 음성-자막 변환 안경 등을 전시해 디지털 접근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제품·서비스들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은 “디지털 활용 역량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역량”이라며 “누구나 쉽게 디지털을 활용하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배움터를 내실 있게 운영하고 디지털 포용 사회 구현을 뒷받침할 수 있는 디지털 포용법 제정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메타버스 보안 등 韓 제안 표준화 아이템 4건 ITU-T 승인
- 과기정통부, 기후기술 학술회의 개최…무탄소 에너지 기술혁신 방안 논의
- 전투기 위협 회피 지원시스템 개발…레이더 전력반도체 국산화 추진
- 디지털 포용포럼 운영위원회 개최…하반기 운영계획 공유
- 과기정통부, 청소년 SNS·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대책 모색
- 취약계층 통신요금 감면…정부, 디지털 바우처 시범사업
- [데스크칼럼] 제22대 국회 출범, 스타트업계는 기대와 우려 사이
- 과기정통부, 지능정보화 기본법 개정안 입법예고
-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서 KAIST·서울대 팀 수상
- 우리은행, ‘제4회 모의해킹 경진대회’ 시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