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다양한 산업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열화상카메라 관련 특허출원이 늘고 있다. 산업용 장비나 건물의 상태·결함을 측정하고 화재감지와 보안관제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체 발열을 감지하는 핵심장비로 활용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열화상카메라에 관한 특허는 최근 5년(2014년~2018년)에 1678건 출원돼 이전 5년(2009년~2013년) 578건 대비 190% 증가했다. 용도별로 보면 산업장비나 건물의 상태 진단용이 전체의 4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듯 보안용, 의료용, 화재감시용이 각각 12%, 6.4%, 5.7%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출원량도 이전 5년 대비 각각 3.4배, 2.6배, 9.8배 증가했다.
최근에는 무인비행체 장착용 열화상카메라 관련 출원도 최근 5년 간 124건으로 대폭 늘었다. 가축 관리와 농작물 재배, 기능성 섬유 개발, 음식 요리과정 등 새로운 영역에 적용하는 특허출원도 증가세를 보였다.
측정온도의 오차를 줄이는 것이 핵심기술인 열화상카메라 특성 상 오차 보정기술에 관한 특허출원도 최근 5년간 53건으로 이전 5년의 10건에 비해 4.3배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측정대상체 주변의 대기온도와 빛의 세기 등 주변 환경에 영향을 덜 받는 온도산출 알고리즘, 열감지 센서로 얻은 픽셀별 불균일 상태를 보정하는 소프트웨어(SW) 기술, 영상의 왜곡보정을 위한 광학렌즈 결합 기술, 실제 화상과 열화상의 합성기술, IoT 기반의 영상 전송기술을 채용한 특허출원이 주를 이뤘다.

산업용과 의료용 장비 간의 온도측정 범위와 측정오차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측정 정밀도를 높이는 기술 확보가 핵심인 셈이다.
특허청 계측기술심사팀 임해영 팀장은 “열화상카메라의 오차를 줄이는 기술이 종래보다 우수하다면 충분히 특허를 취득할 수 있다. 실제 열화상카메라의 사용 환경에서 측정온도 오차가 적어야 한다. 유용하게 사용되는 장비지만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이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