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예비유니콘 기업 15개사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의 육성을 위해 최대 200억원까지 스케일업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79개사가 신청해 5.3:1의 경쟁률을 보였다.
중기부에 따르면, 경쟁을 뚫고 혁신성과 성장성이 우수한 기업들이 대거 선정됐으며 평균 매출액은 233억원, 고용인원 74명, 투자유치금액 352억원, 기업가치는 1,134억원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는 성과연동 보증제도를 신규로 도입해 후속 투자와 매출 등에서 일정 성과를 달성하면 별도 심사 없이도 추가로 보증을 더 받을 수 있도록 해 기업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후속투자 및 매출성장의 동기를 부여했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앞서 중기부는 예비유니콘 사업으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126개의 예비유니콘을 선정해 7,972억원의 특별보증을 지원했다.
선정기업 126개사를 대상으로 2024년 말 기준의 성과를 측정한 결과 선정 당시 대비 매출액은 174.0%, 고용인원은 44.7% 증가했고, 이 중 90개사는 5조2000억원의 후속투자를 유치했다. 특히 8개사는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했고 코스닥 시장에도 13개 기업이 상장됐다.
한성숙 장관은 “예비유니콘 특별보증 사업은 그간 다수의 기업공개(IPO) 성공과 유니콘 기업으로의 성장 등 성과를 거두면서 대표적인 스케일업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며 “예비유니콘이 경제 성장의 핵심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S2W “B2G 시장 선제 공략으로 스케일업…IPO로 해외 사업 확대”
- 세미파이브,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신청…IPO 절차 본격화
- [데스크칼럼] 올해 상반기 투자 흐름이 말해주는 스타트업 환경 변화
- 글로벌 벤처캐피탈(VC) 자금 쓸어담는 AI…투자 쏠림현상 심화
- 정부 ‘초격차 스타트업’ 지원에 유니콘 2개사 탄생
- SK스퀘어, 美·日 AI·반도체 기업 5개사에 투자 단행
- [데스크칼럼] 스타트업 투자 시점…‘지금이 적기’ vs ‘그래도 아직은’
- 중진공,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K-메디콘 육성 ‘맞손’
- 구글, 보안 스타트업 ‘위즈’ 인수 재추진…최종 성사여부에 ‘관심’
- 글로벌 핀테크 투자 감소세에도…생성AI·B2B·STO 중심 회복 기대감
최태우 기자
taewoo@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