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완 CEO, 사우디 투자부 장관 만나 협력안 논의
LG전자 조주완 CEO가 사우디아라비아 칼리드 알팔리 투자부 장관과 만나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내 건설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냉각솔루션 공급 등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LG전자는 1995년 사우디 셰이커그룹과 에어컨 사업 파트너십 체결을 시작으로 2006년 합작법인(JV)을 세워 사우디 내에서 에어컨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26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회담에서 LG전자는 사우디에서의 에어컨, 가전 사업은 물론 네옴시티 내 첨단산업단지 ‘옥사곤’에 건설 중인 AI데이터센터에 냉각솔루션을 공급하는 건에 대해 사우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요청했다.
또 사우디 유통기업인 셰이커그룹, 데이터 인프라기업인 데이터볼트 등 현지 기업들과 추진 중인 HVAC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당부했다.
칼리드 알팔리 장관은 “LG와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에 감사하다”며 “사우디는 수출 주도적 국가로 변화 중이며 수출을 이끄는 사업을 함께 추진한다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LG전자는 이달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셰이커그룹 회장과 데이터 인프라기업 데이터볼트 CEO를 만나 데이터볼트가 짓는 차세대 데이터센터의 열관리 솔루션 공급에 전략적 파트너로서 협력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데이터볼트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해 아랍에미리트·우즈베키스탄·인도·미국 등에 기반을 두고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개발 및 운영 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내 중동 최대 규모의 넷제로 AI데이터센터를 구축 중이다.
LG전자는 AI생태계의 핵심인 데이터센터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수적인 냉각솔루션 공급과 같은 AI 후방 산업에서 사업 기회를 늘려가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사우디는 중동의 AI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라며 “LG전자가 선제적으로 옥사곤 프로젝트 수주를 확보한 것은 향후 중동지역 내 사업 기회 확대를 위한 전략적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전자, 1천만 시니어 고객 타깃 ‘LG 이지 TV’ 출시
- 엔비디아, 오픈AI AI인프라 구축에 최대 1천억 달러 투자
- HS효성인포, ‘데이터센터 현대화 컨퍼런스’…AX·인프라 혁신 전략 공유
- GS ITM, 포항 데이터센터 테스트베드 이달 개소
- 알고리즘 최적화가 AI 핵심 키…“소버린AI, 보호 아닌 경쟁력 강화해야”
-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느는데…“전력인프라 병목현상 고착화 우려”
- 엔비디아·MS가 선택한 엔스케일, 美·英 AI 협력 핵심기업 부상
- 구글, 영국에 68억 달러 투자…첨단 데이터센터 짓는다
- SK하이닉스, HBM4 양산 체제 구축…“AI시대 기술 난제 해결”
- 삼성SDS “AI풀스택 역량으로 고객사 AX 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