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R&D 전략기획단(OSP) 전략회의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8일 R&D 전략기획단(OSP)을 방문해 R&D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산업기술 R&D 혁신 아젠다를 논의했다. OSP는 산업기술 R&D 투자방향과 산업기술 혁신계획을 전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이번 회의에서 문 장관은 탄소중립에 대한 투자 확대를 주문했다. 기상이변 등으로 인해 지속가능성, 친환경 등의 이슈가 전 지구적인 현안으로 부상하고, 국가간 기술패권 경쟁이 펼쳐지는 상황에서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미래 기술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문 장관은 R&D 전략회의 모두발언에서 “탄소중립은 우리 경제가 가야할 길이나, 아직 아무도 가보지 않은 매우 도전적인 과제”라며 “정부가 선제적으로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저탄소·무탄소 공정혁신 기술개발에 과감히 투자해 산업계의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D 전략기획단 오동훈 기술개발 투자관리자(MD)는 ‘산업기술 R&D 혁신 아젠다’ 발제를 통해 “지금은 탄소중립, 공급망 경쟁 등 글로벌 차원에서 산업구조가 대변혁하는 시대로, 이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대담한 R&D가 필요하다”면서 R&D시스템 개선을 위한 과제를 제시했다.

탄소중립 기술은 기존 공정을 근본적으로 전환하는 고난이도 기술인 동시에 실제 산업현장에서 작동돼야 하는 기술이므로, 기술개발과 실증의 강력한 연계를 주문했다.

특히 철강,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업종이 주로 대기업 중심의 업종인 만큼, 대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를 유인할 수 있도록 정부 R&D 매칭 부담 완화 등 R&D 참여 문턱을 낮추는 정책도 제안됐다.

이외에 이번 전략회의에서는 ▲최고 R&D 권위자가 참여하는 개념설계형 R&D 도입 ▲개별 요소기술이 상호 연계된 대형 통합형 R&D 확대 ▲포상형 R&D 등 연구 인센티브 확대 ▲R&D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금융 활성화 등의 R&D 개선방안이 논의됐다.

문 장관은 “오늘 회의에서 논의된 R&D 혁신 아젠다를 구체화하여 제도 개선, 산업기술개발사업 반영 등 R&D 혁신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R&D 전략기획단이 정부와 연구현장을 잇는 R&D 소통창구로서 역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취임 후 수소 경제 관련 첫 현장 행보로, 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 청정수소 생산시설을 둘러보고, 관련 수소업계 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개최해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과 일자리 창출 방안을 업계 관계자와 논의했다. 

박 차관은 미래 글로벌 수소 경제를 선도할 수 있도록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투자를 당부하면서 수소터빈 등 무탄소전원 및 해외수소 도입·운송 관련 기술 상용화 등 국내 수소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이 포함된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연내에 마련해 발표할 계획을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