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정부가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과 전문인재 양성 등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2,237억원을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확장가상세계 신산업 선도전략’에 따라 세계적 수준의 확장가상세계 플랫폼 개발 지원, 확장가상세계 아카데미 신설 등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생태계 조성에 총 2,237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확장가상세계 신산업 선도전략의 조성은 민관협력 기반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에 방점을 두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기업간 협업, 기술개발, 규제혁신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먼저, 탈중앙화와 창작자 경제 기반의 선도형 확장가상세계 플랫폼을 발굴·지원을 위해 340억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 도시 등 통합형 메타버스, 교육·미디어·이용자창작 등 생활경제형 메타버스, 제조·의료·컨벤션 등 산업융합형 메타버스 개발과 실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통합형 메타버스는 지역의 특화 소재(관광, 역사 등)와 결합해 지역의 예술가, 창작자들이 참여해 지역별로 강점을 갖는 콘텐츠와 서비스가 만들어지게 할 예정이다.

실무형 전문인력, 융합형 고급인재 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확장가상세계 아카데미’도 개원한다. 여기에는 46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180명의 청년 개발자와 창작자를 집중 양성한다.

대학의 석·박사과정 연구실 대상으로 메타버스 특화기술 개발과 창업·사업화를 촉진하는 ‘확장가상세계 랩(10개, 24억원)’ 운영과 확장가상세계에 필요한 공학·인문학의 융합교과과정을 갖춘 ‘확장가상세계 융합대학원(2개, 10억원)도 신설해 지원한다. 

전문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지역으로 기업성장 통합지원 거점을 확충하고, 메타버스 기업 자금지원, 기술개발, 해외진출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테스트·실증 환경을 제공하는 확장가상세계 허브(판교)를 운영(67억원)하고, 지역 기업의 확장가상세계 발굴·실증을 전담하는 초광역권 확장가상세계 허브(2개, 20억원)를 신규로 구축해 운영한다. 

‘한국 가상·증강현실 콤플렉스’, ‘확장현실(XR) 디바이스 센터’, ‘홀로그램 센터’, ‘한-아세안 정보통신기술 융합빌리지’ 등 확장가상세계 특화시설(181억원)을 연계해 국내 메타버스 기업의 개발을 돕고, 해외시장 진출의 인프라 기능을 강화하면서 전국 13곳의 ‘지역 가상·증강현실 거점센터’의 지원(96억원)도 계속 이어간다.

이외에도 메타버스 관련 중소·벤처기업의 사업영역 및 규모 확대를 위해 디지털콘텐츠펀드를 1,000억원 규모의 확장가상세계 기업인수합병(M&A) 기금(펀드)으로 조성해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또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확장현실 복제(XR트윈) 기술개발(72억원), 가상·증강현실 기기 핵심기술개발(112억원), 실감콘텐츠 핵심기술개발(259억원), 홀로그램 핵심기술개발(252억원)도 적극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메타버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생태계 참여자가 추구해야 할 자율규범으로 ‘확장가상세계 윤리원칙’ 수립을 추진하고, 업계 등 민간 주도의 자율규제체계 확산을 장려하면서 법·제도 정비에도 나설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박윤규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올해는 디지털 뉴딜의 핵심과제인 확장가상세계를 초연결 신산업으로 집중 육성하는 출발점으로 세계적 수준의 확장가상세계 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면서 “무한한 디지털 경제 영토에서 새로운 성장기회를 찾고 건강한 확장가상세계 세상을 열어 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