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제주와 울산에 구축한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 실증사업을 통해 인공지능(AI), 모빌리티(MaaS/TaaS) 분야 사업을 강화한다.
KT는 11일 울산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열고 국내 최다 사업수주로 확보한 성공적 실증경험을 내세워 올해 전국 지자체의 다양한 C-ITS/ITS, 자율주행 실증사업 수주에 집중할 계획을 밝혔다.
KT는 2020년 제주도 C-ITS 실증사업을 완료한 데 이어 지난달 울산시에 C-ITS 구축을 마쳤다.
제주의 경우 관광산업 특화 서비스와 함께 긴급차량 우선신호 서비스를 제공했다. 긴급차량 우선신호는 구급차·소방차 등이 사고현장으로 출동하면 교차로 신호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통과하는 시스템이다.
울산시는 산업도시 특성에 맞게 화물차 과속방지 경고, 권장운행시간 초과 알림 등 28개 실시간 정보가 제공되도록 했다. 대표 서비스로 화물차와 대중교통에 특화된 ‘AI 기반 영상 분석 솔루션’을 국내 최초로 적용했다.
KT는 ITS 분야에서도 지난해 5개 지자체(대전시/성남시/부천시/안양시/광양시) 사업을 수주했다. 대구 수성 알파시티를 비롯해 판교 제로시티, 공군 서산비행단 등 다수의 자율주행 실증사업에서도 참여 중이다.
KT는 C-ITS/ITS 사업수주와 모빌리티 분야 실증사업 수행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통해 AI, 클라우드, 디지털트윈(DW) 등 자체 기술 기반의 차별화된 솔루션을 확장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상품화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모바일 기반 C-ITS는 보급형 차량 탑재 보도장치(OBU)를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기술이다. AI 교통 영상분석 솔루션인 로드아이즈(RoadEyes)는 CCTV를 활용해 교통 및 위험 상황에 대한 AI 영상분석 솔루션이다.
교통 최적화 예측 솔루션 ‘트래픽 트윈(Traffic Twin)’은 데이터 학습을 통한 AI 기반 교통 혼잡 개선 기술이다. 자율주행을 위한 공간적 범위를 포괄하는 지능형 관제 플랫폼 ‘모빌리티 메이커스(Mobility Makers)’도 추가했다.
KT AI모빌리티사업단장 최강림 상무는 “다양한 사업의 구축·실증경험으로 기술을 축적해 KT만의 독보적인 교통DX솔루션을 개발했다”면서 “업계의 강소기업에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사업모델로 지능형 교통체계를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메라 모듈 시장, 레벨3 자율차로 성장 기회 잡는다
- 앤시스·BMW, 레벨3 자율주행기술 고도화 ‘맞손’…시뮬레이션 툴 공동 개발
- “2040년 1,800조 시장”…韓 UAM 기술 수준, 선진국 60~70% 불과
- 자율차 경쟁 본격화, 美·獨·日 법·제도 정비 속도전…“한국은?”
- 세종 스마트시티 사업 본궤도…국토부·LH·민간사업자 시행 합의
- 현대오토에버, 자율주행 테스트베드·C-ITS로 자율주행 선도
- 과기정통부·국토부, C-ITS 시법사업 주파수 배치안 확정
- KT 영상AI 분석 솔루션 ‘로드아이즈’, ITS 기본성능평가 최상급 획득
- 서울시 C-ITS 실증사업 이달 완료…상용화 돌입
- 자동차 창(窓)의 진화, “HUD, 완전자율주행 전까지 시장 성장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