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함께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3개의 권역별 지자체 도로관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구축사업 지자체 설명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구축사업은 도로시설물 등 도로 정보를 관리하는 유일한 법적 장부인 도로대장을 디지털화해 전국 도로의 통합정보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올해부터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대상 도로는 도로법에 따른 고속국도와 일반국도, 지방도 등 총 11.3만㎞로, 소관 도로관리청이 달라 관리 방법 및 수준이 상이해 이를 통합 시스템으로 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도로의 신설 및 변경 시 도로대장을 표준화된 디지털 규격으로 작성해 국토교통부에 제출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전국의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디지털 도로대장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구축사업의 추진배경과 내용, 현재 지자체 도로대장 관리 현황, 디지털 전환방안 등을 설명했으며 국토교통부에서 일반국도에 대해 운영 중인 도로대장 관리시스템을 시연했다.
국토교통부는 2023년부터 세부적인 추진 방안, 법·제도적 기반 등을 마련해 오는 2027년까지 고속국도, 지방도, 시·군구도 등의 단계적인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향후 전국단위의 디지털 도로대장을 민간에 개방할 계획이다.
이번 설명회를 계기로 도로대장 디지털화 관련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지자체들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내년 중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그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이용욱 국토교통부 도로국장은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의 구축으로 도로서비스의 향상과 최신 도로정보의 개방이 민간의 신사업 창출 지원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버추얼랩, 촉매 연구설계 특화 시뮬레이션 환경 ‘카탈리틱’ 공개
- 이에이트 ‘NFLOW LBM’, 다성분 유동해석 시뮬레이션 성능 검증
- 국토부, 제1차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 기본계획 공청회
- 국토부, 교통류 스마트제어서비스 시범사업 착수
- 레벨3 자율차 모빌리티 서비스, 3일 제주서 개시
- 국토부, BIM 활성화·촉진 일환 민간 교육지원 시범사업 추진
- LG전자, 유니티와 디지털휴먼·메타 홈 기술 개발 ‘맞손’
- 네이버클라우드, 대규모 DW 구현 솔루션 ‘아크아이’ 상용화
- 이에이트 방문한 사우디 차관, “DW로 구현한 스마트시티 관심 많다”
- 과기정통부, 2022년 정보통신기술 표준 전문가 발표회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