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특허청과 자율주행 특허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간담회는 특허청이 자율주행 기술 일선에 있는 기업과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기업의 자율주행 관련 연구개발 사업 성과를 높이고 원천·핵심 특허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특허청 융복합기술심사국 윤병수 국장과 자율주행심사팀 심사관 10여명이 참여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판교에서 시범 운영 중인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연했으며, 특허청은 자율주행 서비스 관련 특허 통계자료 및 최신 기술 동향을 소개했다.
특허 심사가이드 개정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공유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특허청이 미래 모빌리티 분야 특허 분석 방향에 참고할 수 있도록 자사가 보유한 자율주행 및 고정밀지도(HD맵) 구축 관련 원천기술을 사례로 설명하고 심사 가이드 개정에 대한 의견도 특허청에 전달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특허 건수는 자율주행 핵심기술(인지/판단/제어) 전 분야 걸쳐 40여건에 이른다.
판단·주행제어와 관련한 대표 특허는 ‘경로 안내와 연동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의 검색과 학습에 의한 자율주행 제어 방법 및 장치’로 방대한 주행 데이터 중 특정 경로의 자율주행 제어에 적합한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선택하고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켜 이동체의 자율주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담고 있다.
머신러닝/딥러닝을 이용해 주행 환경, 상황, 사용자 목적에 따라 경로 및 운행 제어 관련 알고리즘과 데이터를 최적화하는 ‘주행 경로에 따른 이동체의 적응적 제어 방법’도 주요 특허 중 하나다.
윤병수 특허청 융복합기술심사국 국장은 “이번 현장 방문은 자율주행 분야의 특허출원을 심사하는 심사관들이 실제 도로에서 운행되는 자율주행차를 체험하고 자율주행 분야의 최신 기술들을 습득할 수 있어 유익했다. 향후 자율주행 특허 심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 장성욱 미래이동연구소장은 “자율주행이 새로운 이동 경험을 제공하는 완성형 서비스로 구현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도전해왔다”며 “자율주행을 포함한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들과 어깨를 맞댈 수 있는 기술 경쟁력을 갖추고, 국내 기술 생태계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KAIST·현대차, 고속 자율주행 기술연구 ‘맞손’…파트너십 계약 체결
- 통신3사, ‘K-UAM 그랜드 챌린지’에 각자 컨소시엄 구성
- KT, 이루온과 5G 특화망 핵심 장비 개발
- 삼성, 5나노 파운드리 공정으로 美 암바렐라 SoC 양산한다
- 로봇·드론배송 상용화 빨라진다…국토부,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안 공개
- 카카오 ‘UAM 퓨처팀’, ‘2023 드론쇼코리아’서 공동부스 운영
- 현대모비스, 원천기술 확보 잰걸음…“해외 특허출원 비중, 국내 넘었다”
- 공정위, “카카오T 블루에 승객 몰아줬다” 판단…카카오T는 “행정소송” 예고
- 클로봇, 스마트 물류센터 구축 본격화…물류로봇 사업 확장
- 비트센싱, 올인원 C-ITS 레이더 솔루션 ‘TIMOS’ 정식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