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서울 미래 모빌리티 센터 관제실에서 디지털트윈(DW)으로 구현된 상암 자율주행 시범운영지구의 관제를 진행하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사진은 서울 미래 모빌리티 센터 관제실에서 디지털트윈(DW)으로 구현된 상암 자율주행 시범운영지구의 관제를 진행하는 모습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이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실증사업 일환으로 진행된 서울시 상암지역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확대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서 상암지역 일대 자율주행차 운행이 가능한 도로는 기존 상업 및 주거 지역에서 월드컵 경기장을 비롯해 난지한강공원, 하늘공원 등 주변까지 확대된다.

이 지역에는 자율차 운행가능 지역임을 알려주는 노면 표시와 안내 표지판 등이 설치된다.

SK텔레콤은 이번 시범운행지구 확대와 함께 다양한 ICT 기반으로 자율차의 안전운행 수준을 한층 강화하는 진보된 C-ITS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우선 디지털트윈(DW) 기술을 활용해 상암 자율주행 시범운영지구를 3D로 구현하고 이를 서울 미래 모빌리티 센터에 있는 자율주행 관제 시스템과 연동하면서 여러 대의 차량·신호 정보, 위험 알림 등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제할 수 있도록 구축했다.

디지털트윈으로 구현된 상암 시범운영지구는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로도 활용된다.

상암지역 총 24개 도로 32.3㎞에 달하는 구간에 신호제어기, 불법주정차 카메라, 어린이보호구역 감지카메라 등 인프라도 확충했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이를 기반으로 어린이보호구역 진입 및 보행자 알림, 돌발상황 CCTV 영상 제공 등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도 추가된다.

시범운영지구를 운행하는 자율차는 서울시가 제공하는 V2x 단말기를 장착해 SK텔레콤의 안전운행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지난해 11월부터 서울시가 운영하는 자율차 유상운송서비스를 위해 ▲자율차 전용 차고지 및 전용 주차면 제공 ▲자율차 정류소 내 실시간 위치 정보 전광판 설치 등도 지원한다.

SK텔레콤은 이번 시범운영지구 확대 구축이 5G 기반 자율주행 실증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신용식 SK텔레콤 커넥트인프라CO담당은 “시범운영지구 확대 구축이 5G 기반 C-ITS 서비스가 한 단계 더 진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5G 기술을 통해 자율주행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