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대전청사 중소벤처기업부
정부대전청사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세부사업인 ‘신산업 스타트업 육성사업’의 신청·접수결과를 발표하고 초격차 스타트업 선정을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시스템반도체, 모빌리티 등 10대 초격차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 혁신성장을 이끌 스타트업 1천여개사를 선발해 올해부터 향후 5년간 2조원을 투입해 집중육성하는 사업이다.

중기부는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공모와 민간·관계부처 추천을 통해 초격차 스타트업을 선발하는 신산업 스타트업 육성사업의 신청‧접수를 지난주에 마무리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올해 선정 규모는 5개 분야에서 총 150개사를 선발할 예정이다. 이 중 공모 방식의 경우 74개사 모집에 969개의 스타트업이 신청해 평균 13.1: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분야별로는 신산업 분야 중 스타트업들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바이오·헬스 분야가 23개사 모집에 466개사가 신청해 20.3:1의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어 친환경·에너지 18:1, 로봇 9.7:1, 미래 모빌리티 8.6:1, 시스템반도체 3.5:1 순으로 집계됐다.

일반 공모 신청 현황을 살펴보면 업력 10년 내 기업 중 7년을 초과한 기업이 전체 신청기업의 11.1%(108개사)를 차지했다.

신산업 기술 창업 촉진을 위해 전면 개정한 창업지원법이 지난해 6월 시행되면서 신산업 창업기업 정부 지원대상을 기존 창업 후 7년 이내에서 10년 이내 기업으로 확대한 결과로 중기부는 분석했다.

딥테크 스타트업을 모집하는 만큼 연구원 창업기업이 신청기업의 30.5%(296개사)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최근 2년간 투자유치 이력이 있는 기업이 42.9%(416개사), 기업당 평균 고용 규모는 약 1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최고 수준의 평가 위원단을 구축하고 평가 방식 개선도 추진할 계획이다. 평가위원단의 경우 신산업 분야를 선도할 딥테크 기업 선발을 위해 국내외 최고 수준의 학계·산업계 연구자와 글로벌 수준 대·중견기업 임원, 엑셀러레이터/벤처캐피탈(AC/VC) 투자전문가 등 총 240명의 전문가가 평가에 참여하기로 확정했다.

평가 방식도 1시간 내외의 공개 심층 평가 방식과 평가위원별 전문 분야 평가제 도입 및 기술성 평가 배점 확대 등을 통해 기술력이 높은 스타트업이 초격차 프로젝트에 선정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초격차 프로젝트에 대한 일반 국민의 관심을 높이고 평가 절차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초격차 스타트업 국민 평가단’도 모집해 초격차 프로젝트 평가에 참여시킬 계획이다. 평가단은 창업 경력자 또는 관련 분야 전공자 등 최소 자격을 갖춘 경우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중기부 이영 장관은 “AI, 미래차, 반도체 등 신산업 분야에서 디지털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우리나라가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산업 분야 딥테크 육성은 필수적인 과제”라며 “딥테크 기업이 초격차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평가위원 선발·평가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