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토에버가 실내 주차장 지도 구축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차량 내비게이션의 주차장 안내 서비스가 확대되는 가운데 서비스의 운영에 필요한 실내 주차장 지도를 효율적으로 신규 구축하고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다.
실내 주차장 지도는 아파트, 대형 쇼핑몰 등 넓은 주차장을 가진 시설에서 경로·위치를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용 주차면 수와 엘리베이터 위치, 출입구 정보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
현대오토에버는 효율적인 지도 구축을 위해 ‘실내 조사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 시스템을 통해 얻은 정보를 지도로 가공할 수 있는 ‘실내 조사 솔루션’도 함께 개발했다고 전했다.
실내 조사 시스템은 차량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되며 ▲54채널 카메라 ▲라이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DMI(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등 다양한 센서를 통해 실내 주차장에서 위치를 파악하고 주변 정보를 수집한다.
실내 조사 솔루션은 시스템에서 확보한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도를 만들기 위한 소프트웨어(SW)다. 이 솔루션에는 ▲실시간 센서 데이터 수집 툴 ▲실내 매핑 장비 위치 추정 소프트웨어 ▲IMU 위치 오차 보정 소프트웨어 ▲3차원 데이터 생성 및 후처리 SW 등을 포함하고 있다.
실내 조사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이 설정된 조사 경로대로 실내 주차장을 주행하며 ROS (Robot Operating System)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방식으로 데이터를 가공한다.
SLAM은 ‘동시적 위치 추정 및 지도 작성’이라는 의미로 이동 중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 지도를 작성하고, 환경 지도에서 센서 위치를 추적하며 지도 작성을 이어가는 방식이다.
시스템이 수집한 데이터는 실내 조사 솔루션을 통해 가공되는데, 3차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을 모델링한다. 이렇게 모델링된 공간에 조사 중 파악한 주차장 노면과 벽면 표시, 표지판 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해 지도가 구현되는 형태다.
현대오토에버는 지도의 오차 범위도 1m 이내의 정확성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현장을 직접 조사해서 구현해 도면 기반 지도보다 정확하고, 아웃소싱을 통한 현장 조사보다 낮은 비용으로 지도를 구축하면서 변화에도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부연했다.
현대오토에버는 내재화한 기술이 앞으로 실내 주차장 뿐만이 아니라 실내 지도 전반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실내 지도는 스마트 팩토리나 사무용 빌딩의 안전 관제 및 모니터링에도 활용할 수 있고 실내에서 이동하는 로봇의 이동 경로 관제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 완전자율주행 핵심 ‘HD맵’, 기술 특허출원 크게 늘었다
- 카카오모빌리티·특허청, 자율주행 특허 확보 간담회…심사가이드 개정 의견 교류
- 현대오토에버 서정식, “품질 향상과 기술 리더십 확보에 집중하자”
- 물류 핵심 ‘자율주행 트럭’에 적용되는 전력시스템 설계의 핵심요소
- 현대오토에버, HMG 개발자 컨퍼런스서 “SW의 핵심은 품질검증” 강조
- 레벨3 자율차 모빌리티 서비스, 3일 제주서 개시
- 네이버, 자체 개발 자율주행 SW ‘알트라이브(ALTRIV)’ 실증
- 모라이, dSPACE와 자율주행 통합 시뮬레이터 개발 ‘맞손’
- KM 자율주행 얼라이언스 출범, “상용화 수준 자율주행 서비스 목표”
- KT, 서울 강남구서 도심형 로봇 배송 서비스 개시